방사선 치료는 다양한 암에 대한 주요 치료법 중 하나지만, 방사선 저항성 종양 및 방사선 치료 후 나타나는 암의 재발 및 전이에 대한 효과적인 새 치료법 개발이 필요하다.
이런 가운데 방사선 치료가 잘 듣지 않는 암 세포(저항성 종양)의 성장과정 중 나타나는 종양혈관 세표변이를 조절해 방사선 암 치료 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는 가능성이 제시돼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한국원자력의학원(원장 김미숙) 이윤진 박사팀은 혈관내피세포가 간엽세포로 변하는 종양혈관 세포변이를 조절해 종양 줄기세포의 증식 및 종양 면역대식세포의 활성을 억제해 방사선 치료 효율을 높일 수 있음을 규명했다.
특히 이번 연구는 동물실험 뿐 아니라, 폐암환자의 암 조직을 이용해 연구결과의 임상적 유용성을 제시했다.
박사팀은 혈관내피세포의 특정 암 관련 유전자를 제거해 방사선에 의한 혈관 세포변이를 억제할 수 있었고, 이를 통해 종양혈관 세포변이 조절이 방사선 치료효율과 상관성이 있음을 입증했다.
또 종양혈관 세포변이 조절은 기존의 방사선 치료에 비해 최근 높은 치료효율로 각광 받고 있는 고선량저분할 방사선 치료에서 더욱 효과적인 것을 확인했다
이번 연구결과 박사팀은 “방사선 치료효율을 높일 수 있는 새로운 종양혈관조절기술을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며, “저항성 종양 줄기세포의 증식억제와 항암면역증진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효율적인 방사선 병용치료법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 성과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방사선 기술개발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이번 연구는 세계적 저명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Nature Communications) 온라인판 11월30일자에 게재됐다.
(그림)방사선에 의한 종양 혈관내피세포의 간엽세포변이에 의한 종양미세환경변화
방사선 치료 후 저항성 종양 혈관내피 세포의 간엽세포로의 변이현상은 종양혈관 주변의 비정상적인 혈관주위세포 증식과 과도한 종양혈관 성장을 촉진시키며, 방사선 저항성 종양줄기세포의 증식 및 종양 면역대식세포의 분극화를 조절함으로서 종양의 성장을 촉진시킨다.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