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퇴행성골관절염 주사치료제 미국특허획득…새 치료제 가능성 ‘눈길’ - 동국대일산병원 임군일 교수, 골관절염 재생효과 확인
  • 기사등록 2018-08-17 23:43:59
기사수정

동국대학교일산병원 정형외과 임군일 교수가 최근 연골 재생 및 퇴행성 골관절염 주사치료제 개발과 관련 미국특허를 획득해 관심을 모으고 있다. 

공식 특허명은 ‘서 방출 및 생체 적합성이 개선된 카토제닌-키토산 복합체 입자 및 이의 이용’이다. 


이는 연골 재생과 퇴행성 골관절염 치료제로 알려진 카토제닌을 관절강 내 주사제 개발을 위해 생체재료인 키토산과 결합한 나노입자를 서 방형 골관절염 주사치료제로 개발하여 골관절염 재생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한 연구다.


현재 우리나라는 고령 인구의 증가에 따라, 골관절염으로 고통 받는 환자의 수가 증가추세이며, 초중기의 퇴행성 골관절염에서 연골의 재생을 유도할 수 있는 치료제가 알려지지 않은 상태다.

또 관절염을 치료하는 여러 방법 중 스테로이드제제 또는 히알루론산을 관절에 직접 주입하는 국소주사치료는 해외 및 국내에서 가장 일반적인 치료방법이다. 


하지만 이러한 소염 진통제 등의 약물은 증상을 완화하는 효과는 있지만 연골의 약화와 전신적인 부작용 및 손상된 연골을 재생할 수 없어 근본적인 치료법이 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이번 연구 결과를 통해 확인된 골관절염 재생효과는 새롭게 개발된 카토제닌-키토산 복합체를 골관절염 관절 내 주사제로 사용 시 연골 재생은 물론 약물의 농도, 투여 횟수를 감소시킬 수 있어 보다 효과적인 약물전달시스템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임군일 교수는 “관절염 관절 내 주사제들이 대부분 진통소염제류로 손상된 연골을 재생할 수 있는 약물이 현재까지는 상용화 되지 않았다”며, “이번 연구 결과를 통해 골관절염 치료에 대한 효과가 검증됨에 따라 향후 기술이전 및 안전성, 유효성 등 임상을 거쳐 현재 치료법보다 한 단계 발전된 치료제로 실용화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10927014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4월 제약사 이모저모]셀트리온, 한미약품, 한국MSD, GC녹십자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의료기기 이모저모]메드트로닉, 젠큐릭스, 코렌텍, GE 헬스케어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4~5월 제약사 이모저모]사노피, 셀트리온, 제테마, 머크, 한국팜비오 등 소식
분당서울대병원
아스트라제네카
국립암센터
분당제생병원
경희의료원배너
한림대학교의료원
서남병원
위드헬스케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