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후천성 척수장애인, 생존권 차원 배뇨관리 지원 필수 - 소변 배출위한 카테터에만 월 27만원 사용
  • 기사등록 2015-09-10 09:59:00
기사수정

척수 장애인들에게 배뇨관리를 위한 ‘자가 도뇨 카테터’를 필수적으로 지원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문정림 의원(보건복지위원회, 새누리당 원내대변인)은 2015년 보건복지부 국정감사에서 갑작스러운 사고나 질병 등에 따른 후천성 척수 손상으로, 정상적 배뇨활동이 불가능하게 됐다며 이같이 지적했다. 

‘자가 도뇨’란 정상적 배뇨활동이 불가능한 척수장애인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배뇨 방법으로, 요도를 통해 관모양의 얇은 호스인 ‘카테터’를 삽입하여 소변을 배출하며, 정해진 시간에 맞춰 하루에 4회에서 6회 실시한다.
9-3.jpg

현재 정부는 ‘신경인성 방광’ 보유자에 대한 ‘자가 도뇨 카테터’건강보험 적용(요양급여)을 2013년 7월부터 시행하고 있지만 선천성 척수장애로 인한 신경인성 방광 환자만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보니, 후천성 척수장애인에게는 지원이 전무한 상태이다.

2014년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지체장애인 130만명의 약 4.9%인 63,485명이  척수장애인이며, 이 중 자가도뇨 카테터가 필요한 척수장애인(후천성)은 49.6%인 31,489명이다.

후천성 신경인성 방광 환자로 분류된 척수장애인들은 선천성 신경인성 방광 환자와 같은 증상으로 고통을 받지만, 카테터에 대해 건강보험에 의한 요양급여 지원을 받지 못해 소변배출을 위해 월 27만원의 비용부담을 안고 있다.

이와 함께 비용부담으로 인해 일회용 소모품인 ‘카테터’를 재사용하다 보니 요로감염, 방광요관 역류 등 합병증을 겪게 된다.

‘카테터’는 식약처 내규 상 ‘일회용 소모품’으로 분류되어 있어 재사용이 금지된 소모성 재료이다.

문정림 의원은 “대부분의 OECD 가입 국가들은 자가 도뇨 카테터에 대한 보험적용을 선천성, 후천성 척수장애인 모두에게 하고 있음은 물론, 월 카테터 개수에 보험적용 제한을 하지 않는다”며, “후천성 척수장애로 인한 신경인성 방광 소유자에게 생존권을 보장한다는 의미에서 ‘자가도뇨 카테터’의 건강보험 지원을 적극적으로 검토하라”고 보건복지부에 주문했다.
9-4.jpg

한편 문정림 의원은 지난 8월 20일 국회에서 척수장애인 건강권 보장을 위한 ‘척수장애인 자가도뇨 요양급여 확대를 위한 세미나’를 개최한 바 있다.
 
(표)OECD국가의 자가도뇨 카테터 월 지원 금액(원)
9-5.jpg

 

관련기사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441821562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의료기기 이모저모]메드트로닉, 젠큐릭스, 코렌텍, GE 헬스케어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4~5월 제약사 이모저모]사노피, 셀트리온, 제테마, 머크, 한국팜비오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4월 제약사 이모저모]베링거인겔하임, 아스트라제네카, 유틸렉스, 제일약품 등 소식
분당서울대병원
아스트라제네카
국립암센터
분당제생병원
경희의료원배너
한림대학교의료원
서남병원
위드헬스케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