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8월 14일 병원계 이모저모③]강동경희대, 서울대, 한양대병원 등 소식
  • 기사등록 2025-08-14 22:30:05
기사수정

8월 14일 병원계 주요 이모저모는 다음과 같다.


◆강동경희대병원-케이바이오헬스케어 업무협약 체결

강동경희대학교병원(원장 이우인)이 지난 13일 케이바이오헬스케어(대표 이상호)와 외국인 환자 건강관리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병원을 찾는 국제 환자가 자신의 모국어로 정확한 건강정보를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스스로 건강 관리가 가능하도록 지원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를 위해 인공지능(AI) 기반 다국어 건강정보 플랫폼 ‘리터러시M(LiteracyM)’을 도입하는 것이 핵심 내용이다. 

강동경희대병원은 이번 협약을 통해 외국인 환자의 진료 만족도는 물론, 치료 이후의 건강관리 연속성까지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리터러시M’은 검사결과, 처방전, 복약 지침 등 주요 의료정보를 환자의 모국어로 번역해 제공하는 플랫폼이다. 

단순한 번역이 아닌, 의료 전문용어를 일반 환자도 이해할 수 있도록 가공해 안내하는 것이 특징이다. 현재 영어, 중국어, 일본어 등 20여 개 언어로 서비스되고 있다.

이우인 병원장은 “이번 협약은 외국인 환자에게 보다 친숙하고 효과적인 건강정보 제공 경로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앞으로도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에서의 협력과 혁신을 통해 전 세계 환자에게 신뢰받는 병원이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온드림 희귀질환 전문 의료진과 함께하는 유전성 과성장·저성장 공개강좌 개최

현대차 정몽구 재단 주최, 서울대학교병원 희귀질환센터·서울권역희귀질환전문기관 주관, 현대차 정몽구 재단, 질병관리청이 후원하는 ‘온드림 희귀질환 전문 의료진과 함께하는 유전성 과성장·저성장 증후군 공개강좌’가 오는 22일(금) 서울대학교어린이병원 지하 1층 제일제당홀에서 개최된다.


이번 강좌는 PIK3CA 관련 과성장증후군, Beckwith-Wiedemann 증후군, Russell-Silver 증후군, Sotos 증후군 등 유전성 과성장·저성장 질환에 대해 권역별 희귀질환 전문기관 소속의 전문의들이 참여하여 각 질환에 대한 최신 의료지식과 정보를 제공하고, 보호자와 환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한 질의응답도 함께 진행된다.

이번 공개강좌는 희귀 유전질환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정보 접근성을 확대하고, 환자 가족들이 정제된 의료정보를 바탕으로 올바른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마련됐다.


◆한양대류마티스병원 ‘정밀의학과 환자 중심 진료’ 주제로 국제 심포지엄 개최

한양대학교류마티스병원(원장 김태환)이 오는 22일(금) 오후 1시 20분부터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계단강의동 4층 임우성국제회의실에서 ‘제14차 한양대학교류마티스병원 국제 심포지엄(14th HUHRD International Symposium)’을 개최한다.

이번 심포지엄 주제는 ‘정밀의학과 환자 중심 진료: 류마티스 질환에서의 혁신과 실제 진료의 연결(Precision Medicine and Person-centered Care in Rheumatology: Bridging Innovation and Real-World Care)’로, 국내외 류마티스 질환 분야 전문가들이 최신 연구성과와 임상 적용 사례를 공유하고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첫 번째 세션 ‘정밀 류마티스학: 분자적 이해에서 개인 맞춤 진료(Precision Rheumatology: From Molecular Insights to Individualized Care)’에서는 한양대류마티스병원 배상철 교수와 김태환 교수가 좌장을 맡고, ▲호주 멜버른대 심희정 교수가 ‘고해상도 전사체 분석을 위한 mRNA 나노포어 데이터 분석(High-resolution transcriptomics: Computational methods for mRNA nanopore data analysis)’, ▲울산대 의대 홍석찬 교수가 ‘단일세포 및 공간 전사체학을 통한 루푸스의 분자 신호와 임상 질환 연계(Single-cell and spatial transcriptomics in SLE: From molecular signatures to clinical disease)’, ▲한양대구리병원 방소영 교수가 ‘류마티스 질환에서의 유전체 및 개인별 유전 위험 점수(Genomics and individual genetic risk scores in rheumatology)’를 주제로 발표하며, 정밀의학적 접근을 심층적으로 논의한다.


두 번째 세션은 ‘노화와 류마티스질환: 고령 환자의 임상적 동향(Aging and RMD: Clinical Trends of RMD in Elderly)’을 주제로 한양대구리병원 이혜순 교수와 한양대류마티스병원 성윤경 교수가 좌장을 맡고, ▲미국 국립보건원(NIH) 송민교 교수가 ‘자가면역과 노화 연구에서의 역학적 접근(Epidemiologic approaches in studies of autoimmunity and aging)’, ▲연세대 의대 김경민 교수가 ‘국내 노인 인구의 근감소증 유병률과 예후(Prevalence and outcomes of sarcopenia in Korean elderly population)’, ▲한양대류마티스병원 조수경 교수가 ‘고령 환자에서의 생물학적 제제 치료: 임상적·사회적 고려사항(Biologic therapies in older adults: Clinical and social considerations)’를 주제로 발표한다.


김태환 원장은 “류마티스질환 치료는 환자별 맞춤형 전략이 필수적이며, 이를 위해 정밀의학과 환자 중심 진료를 어떻게 융합할지에 대한 깊이 있는 논의가 필요하다”며 “이번 심포지엄이 연구자와 임상의 간의 활발한 교류를 이끌고, 환자 치료의 새로운 지평을 여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


관련기사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10969374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7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 비보존, 한국다이이찌산쿄, 한미약품, GC녹십자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7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 비보존, 신신, 셀트리온, 한국아스트라제네카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7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ST, 머크, 알피바이오, 지씨셀, 큐라클 등 소식
q(0) a').addClass('on'); $('#simpleSkin06_9 .thumbnail li a').bind('mouseenter focus',function(){ thumbnailContent = $(this).parent('li').html(); $('#simpleSkin06_9 .imageBig').html(thumbnailContent); $('#simpleSkin06_9 .thumbnail li a').removeClass('on'); $(this).addClass('on'); clearInterval(timer); }) $('#simpleSkin06_9 .thumbnail li a').bind('mouseleave focusout',function(){ mouseOverIndex = $(this).parent('li').index() numChk = mouseOverIndex; if(numChk < galleryLength - 1){ numChk++; }else{ numChk = 0; } timer = setInterval(autoRolling,3000); }) $('#simpleSkin06_9 .imageBig').bind('mouseenter focus',function(){ clearInterval(timer); }) $('#simpleSkin06_9 .imageBig').bind('mouseleave focusout',function(){ timer = setInterval(autoRolling,3000); }) function autoRolling(){ thumbnailContent = $('#simpleSkin06_9 .thumbnail li:eq(' + numChk + ')').html(); $('#simpleSkin06_9 .imageBig').html(thumbnailContent); $('#simpleSkin06_9 .thumbnail li a').removeClass('on'); $('#simpleSkin06_9 .thumbnail li:eq(' + numChk + ') a').addClass('on'); if(numChk < galleryLength - 1){ numChk++; }else{ numChk = 0; } }; var timer = setInterval(autoRolling,3000); })(jQuery)
분당서울대병원
아스트라제네카
국립암센터
분당제생병원
경희의료원배너
한림대학교의료원
서남병원
위드헬스케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