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뇨의학과가 지역 중심으로 붕괴중이고, 이 여파로 교육, 수련 등 전체 시스템이 위기 상황에 놓여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대한비뇨의학회 이상돈(양산부산대병원)회장은 지난 4일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된 학술대회 기자간담회에서 “지난 2009년 전공의 지원 미달이후 비뇨의학과 위기가 10년 이상 이어지고 있다”며, “전문가가 질 좋은 의료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정부의 지원이 절실하다”고 밝혔다.
송채린(울산의대 교수) 기획이사도 “교수들의 개원 등 이직이 현실화되고 있고, 수련병원의 폐과 및 비뇨의학과의 교육시스템 붕괴가 현실화 되고 있다”고 말했다.
박관진(서울대의대 교수) 수련이사는 “전공의 부족현상이 심화된 상황이고, 현재 비뇨의학과 중심 수련 시스템이 붕괴 상태이다”며, “이대로 가면 더 악화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비뇨의학과는 적절한 인력 공급이 되면 잘 반등하고, 지원정책들이 효과적으로 잘 연동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는 만큼 보다 적극적인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전립선암 적정성 평가 등 위기감 고조
이런 가운데 최근에는 전립선암과 신장암에 대한 선별적 로봇수술급여화 추진 및 전립선암 적정성 평가도 진행되면서 위기감이 더욱 고조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관중(성균관의대 교수) 보험이사는 “이번 조치는 현실수가를 반영하지 못해 상급종합병원과 종합병원의 고난이도 종양수술에 대한 수익감소로 이어지고, 비뇨의학과 위기로 이어질 것이 분명하다”며, “인력이 부족한 상황에서 진행되는 이번 평가는 비뇨의학과 존립 위기를 심화시키는 것이다”고 주장했다.
실제 전공의를 수련하는 비수도권 수련병원의 경우 교수인력도 구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라는 것이다.
주관중 보험이사는 “서울 대형병원들이 수도권, 지방대학병원에서 교수요원들을 스카우트해가면서 지방대학병원들은 수련시스템을 유지하기도 힘들어지는 현상이 벌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비뇨의학과 지원이 필요한 이유는?
그렇다면 비뇨의학과 지원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일까?
이에 대해 송채린 기획이사는 대표적으로 ▲한국이 초고령화사회가 되면서 배뇨질환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고, 이를 전문적으로 관리해야 더 큰 의료비용 증가를 막을 수 있다는 점, ▲현재 요양병원 환자 중 절반이상은 비뇨기 문제를 안고 있다는 점 등을 제시했다.
◆대표적인 해결책은?
가장 현실적인 해결책으로 ▲비뇨의학과의 필수의료과 지정, ▲현행 수가를 외과 수준으로 높이는 방법, ▲비뇨기질환 전문병원 도입 등이 제시됐다.
주관중 보험이사는 “전문의 행위 30% 가산, 경요도 내시경수술 수가의 100% 상향, 요양노인 관련 처치 수가 200% 상향 조정 등 비뇨의학과 전공의, 교수 수급 안정화를 위해 이같은 수당 보조금이나 전문의 행위 가산 등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109459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