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자가 응급실을 찾을 때 선별진료소가 중증도와 응급 여부 환자를 신속하게 구별한 뒤 적재적소에 진료과를 선택해 치료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대한응급의학회 류현욱 정책이사(경북대병원 교수)는 지난 16일 ‘코로나19 장기화에 대비한 응급실의 개선방안’이라는 주제의 토론회에서 “환자가 응급실로 왔을 때 전부 응급환자일 것인가 하는 문제에 직면한다”며, “환자가 오면 중증도와 응급 여부 환자를 신속하게 제대로 구분하는 것이 선별진료소의 역할이며 감염환자인지, 응급환자 또는 중증환자인지 응급 여부를 구분하고 어느 과에서 진료하는 것이 나은지 판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 “이를 위해 선별진료소는 의료진 중 가장 경험이 많은 사람이 맡아 신속하게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덧붙였다.
2차 병원에서 근무하는 화홍병원 최석재 응급의학과장도 “응급환자가 제때 치료받기 위해서는 분류 시스템이 중요하다”며, “구급차를 타게 되면 119 구급대원이 분류하면 되지만, 선별진료소에 왔을 때는 3차 병원에 바로 들어가지 않도록 분류 프로세스를 정확하게 만들어야 병원 간 의료전달체계가 제대로 확립될 수 있을 것이다”고 주장했다.
대한응급의학회 백진휘(인하대병원 교수) 무임소이사는 “응급실 진료는 중증환자를 진료하도록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역할이다”며, “향후 응급환자를 제대로 진료하기 위해서는 선별 진료 운영의 명확한 규정 마련과 응급실의 시설, 장비 규정을 제대로 만들고 보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대목동병원 남궁인 교수는 “환자가 야간에 오면 응급실 내 선별진료소에서는 1~2시간에 1명밖에 보지 못하고 있어 응급환자가 왔을 때 4~5시간 기다려야 하는 일도 있다”며, “환자의 희생을 줄이기 위해서는 현재보다 더 안전한 시스템을 만들 수 있도록 정부 차원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또 “코로나 가능성이 낮아도, 조금만 발열이 있으면 코로나로 준해 기록하고 진료하고 있다”며, “어떤 환자를 코로나 의심환자로 볼 것인지, 부족한 의료자원을 어떻게 할 것인지 정책적 논의가 더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 토론회는 코로나19가 장기화되면서 나타나는 응급실의 변화, 장기간 선별진료소 운영에 따른 애로사항, 응급환자 및 중환자 진료 프로세스 문제 등을 짚어보고 코로나19 장기화에 대한 개선방안 등을 제안하는 차원에서 마련됐다.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109367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