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화기암은 사망률이 높아 조기발견이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위내시경 시 위암으로 진행하기 전 단계인 전암성 병변(이형성증) 또는 조기위암인 경우 일반내시경으로 보고도 놓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왜 그럴까?
일반적으로 초기에는 종양과 주변 점막의 차이가 분명하지 않고 약간의 형태학적 소견과 색상 차이만 보일 정도로 발견이 쉽지 않다.
또 점막의 변화가 미미하고, 병변이 잘 보이지 않는 곳에 위치해 있거나, 크기 1cm 이하의 작은 종양은 발견이 쉽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런 어려움을 극복해 소화기암을 조기에 발견, 예방 확률을 높일 수 있게 됐다.
한림대학교동탄성심병원(병원장 이성호) 소화기센터는 지난 2017년 12월 최첨단 내시경 장비인 ‘Eluxeo-7000’을 도입, 기존 내시경으로는 발견이 어려웠던 소화기암을 조기에 발견하고 예방할 수 있는 확률을 높였다.
이 기기는 서로 다른 파장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BLI(Blue Light Imaging)와 LCI(Linked Color Imaging) 모드를 통해 특정한 파장을 보이는 병변을 정확히 찾을 수 있다.
BLI 모드에서는 용종을 명확히 확인할 수 있고, LCI 모드에서는 미세하지만 주위의 점막과 높은 색 대비를 가진 종양을 발견하는 데 용이하다. 또 암세포와는 다르지만 염증이 있는 점막도 색 대비를 통해 진단할 수 있어, 염증 속에 생기기 쉬운 종양을 확인하는 역할도 한다.
즉 정상인 조직과 정상이 아닌 조직을 명확히 구분할 수 있고, 불분명했던 경계도 뚜렷하게 발견할 수 있다. 따라서 용종이 어디에 있고, 제거 시 어디까지 절제해야 할지 집도의가 정확히 판단하고 치료 결정을 할 수 있게 도움을 준준다.
또 카메라를 최대 135배까지 확대할 수 있는 고배율 모드를 통해 조직검사 전에 악성종양과 양성종양을 구분하는 것도 가능하다.
조직검사의 정확도도 높아졌다. 암이 확실시 되는 환자임에도 악성종양의 위치를 정확히 확인하지 못할 경우 잘못된 조직을 떼어내 검사하는 경우가 종종 있었지만, 고배율 모드로 악성종양인 조직을 정확히 구분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동탄성심병원 이진(소화기내과 교수)소화기센터장은 “최첨단 내시경장비 도입으로 내시경검사에서 진단과 절제, 조직검사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게 됐다”며, “최대 강점은 아주 초기에도 악성종양을 발견할 수 있어 사망률이 높은 소화기암을 조기에 예방할 수 있게 됐다는 점이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