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질병관리본부(CDC) 에 따르면 3명 중 1명이 일생 동안 한 번의 대상포진을 겪는다. 우리나라에서도 한 해 동안 약 50만 명이 진단 및 치료를 받을 만큼 흔한 대상포진은 몸의 한쪽(편측)에만 발생하는 물집과 극심한 통증이 특징이다.
대개 초기에는 권태감, 발열과 오한 등 감기몸살과 증상이 비슷해 적정 치료시기를 놓치기 쉽다.
흔하지만 익숙하지 않은 대상포진에 대해 을지재단 산하 을지대학교 을지병원 피부과 한태영 교수의 도움말로 알아보자.
◆뻐근함과 권태감, 발열 등 감기와 비슷
과거에 수두에 걸렸거나, 수두 예방접종을 한 사람에게는 수두-대상포진바이러스가 일생동안 잠복하게 된다. 대상포진은 잠복해 있던 이 바이러스가 면역체계에 이상이 있을 때 재활성화되어 발생하는 질환이다. 신경괴사와 염증 및 통증을 유발하고, 신경을 따라 내려가 피부에 특징적인 띠모양의 밀집된 물집을 형성한다.
원인은 아직 분명하게 밝혀지지 않았으나 수두 유행이나 계절에 관계없이 발생하며 면역저하, 스트레스, 방사선조사, 종양, 국소외상 등과 연관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전에는 ‘고령 질환’으로 알려졌으나 최근에는 스트레스 등의 요인으로 젊은 연령에서도 증가하고 있다. 대상포진 환자와 직접 접촉 후 수두의 발생이 가능하며 일부 파종성 대상포진의 경우 비말 매개 전파도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대상포진의 초기 징후는 뻐근함과 통증, 권태감, 발열, 오한, 설사 등 감기나 몸살과 증상이 비슷해 의심하기 어렵다.
한태영 교수는 “대개 피부발진(붉은 반점)이 나타나기 1~14일 전에 통증과 압통, 따끔거리고 가려움, 감각이상 등이 발생하고 가벼운 자극에도 과민반응이 나타날 수 있는데, 이러한 대상포진의 특징적인 초기 증상은 30세 미만에서는 드물며 주로 60세 이상에게 흔히 나타난다”고 설명했다.
◆물집과 통증, 같은 듯 다른 질환
같은 원인으로 발생하는 수두와 차이점은 수두는 전신 발진으로 나타나나, 대상포진의 피부발진은 신경을 따라 한쪽(편측)에만 띠모양의 군집성 물집으로 나타난다. 피부발진 3일째 고름물집으로 진행되며 일주일이 지나면 딱지가 생긴다. 완전히 사라지기까지는 평균 3주정도 소요된다. 간혹 통증만 호소하고 물집이 발생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일반인이 오해할 수 있는 피부 물집(수포) 발생 질환들]
◇수두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에 의한 급성 바이러스성 질환으로 급성 미열, 전신에 가려움증을 동반한 발진성 수포(물집)가 생긴다. 주로 호흡기를 통해 전파되며, 수두를 앓지 않은 가족내 전염률은 90%에 달한다. 특히 발생 초기일수록 전염성이 강하고, 모든 피부 병변에 딱지가 생기면 전염성이 사라진다. 정상 소아에서는 일반적으로 양성경과를 보이며 저절로 치유되나 성인이 수두에 걸린 경우 항바이러스제 치료가 권장되고 있다.
◇농가진
주로 여름철에 어린이에게 황색 포도알균에 의해 발생하는 얕은 화농성 감염을 말하며, 물집농가진과 접촉전염농가진의 두 가지 형태로 나타난다.
물집농가진은 신생아에게 흔하며, 무력증, 발열, 저체온, 녹색설사 등이 동반되기도 한다. 물집은 얼굴과 손을 포함해 전신에 발생할 수 있다. 작은 물집이 빠르게 큰 물집으로 번져나가 이틀 안에 쉽게 터지고, 노란색의 얇은 딱지를 형성한다.
접촉전염 농가진은 전체 농가진의 70%를 차지하며 전염력이 매우 높다. 처음에는 작은 반점 또는 잔물집으로 시작되어 농포(고름집) 또는 물집으로 변하고, 터지면 맑은 분비물이 나오는데 이것이 마르면 황갈색의 겹겹이 쌓인 딱지를 형성한다. 얼굴, 특히 코와 입 주위, 팔다리에 잘 생기며 가끔 림프선이 붓는 종창을 동반하기도 한다.
피부 병변에서 나오는 삼출물이 손가락 등을 통해 다른 곳에 전파시키는 역할을 한다. 보통 전신 증상은 없으나 심하면 전신쇠약, 고열, 설사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치료는 국소 또는 경구 항생제를 사용하며 대부분 합병증없이 회복된다.
◆대상포진의 합병증과 치료
합병증은 종류 및 발생부위에 따라 포진후 신경통, 안면신경마비, 감각신경성 난청, 이명, 시력저하, 신경원성방광, 뇌수막염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이 중 가장 흔한 합병증은 포진 후 신경통으로 피부 병변이 호전된 후에도 통증이 지속된다.
50세 이하에서는 비교적 발생이 드물며 60세 이상 환자의 약 50%에서 발생한다. 연령외의 위험인자로는 급성기 통증이 심한 경우, 피부 병변이 심한 경우, 대상포진이 얼굴에 발생한 경우 등이 있다.
대상포진 후 신경통에 대해 환자들은 “수 천 개의 바늘로 찔리는 통증”, “칼로 베이는 통증”에 비유하듯 매우 극심한 통증이므로 질환 초기에 적극적으로 치료 받아야 한다.
한태영 교수는 “고령에서는 합병증으로 인한 신경손상 위험이 높아 빠른 치료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대상포진 치료의 목표는 통증의 억제, 바이러스의 확산과 이차감염 억제, 대상포진 후 신경통 등의 합병증 예방 및 최소화다. 일반적으로 항바이러스제와 진통제를 사용하며 통증이 심할 경우 국소신경차단술 등의 시술을 통해 통증을 경감시킬 수 있다. 면역저하 환자나 대상포진 수막염이 발생한 경우에는 입원하여 정맥내 수액으로 항바이러스제 치료가 필요하다.
최근에는 대상 포진 예방접종이 개발되어 60세 이상에서 대상포진의 병력과 무관하게 접종을 권고하고 있다.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109233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