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검색
‘근위 경골 절골술’ 과다 교정 생기는 원인, 방지 방법 제시 건양대병원 이도경 교수, 삼성서울병원 왕준호 교수 2019-04-19
김영신 medicalkorea1@daum.net

젊은 환자들에게 많이 사용하는 무릎 퇴행성관절염의 치료법 중 하나인 ‘근위 경골 절골술’시 발생할 수 있는 과다 교정(Overcorrection) 해결방안에 대해 분석한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무릎 관절염이 진행될 경우 다리가 O자로 휘어지면서 무릎 내측에 압력이 증가하면서 심한 손상과 통증을 유발한다. 말기 퇴행성관절염에서는 인공관절 치환술이 효과적인 치료법으로 알려져 있지만 증상이 심한 중기 퇴행성 관절염이거나 나이가 젊은 환자들에게는 인공관절보다 주로 ‘근위 경골 절골술’을 적용한다.
‘근위 경골 절골술’은 경골(정강뼈)에 절골술을 시행하여 벌려줌으로 인해 체중의 중심을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옮겨줘 증상의 호전을 시키는 효과적인 수술법이다.


최근 우리나라에서 수술 빈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인공관절과는 달리 본인의 관절을 살릴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젊은 연령의 퇴행성 관절염에서 치료 적응증이 된다.
문제는 이 수술을 받은 환자 일부에서 과다 교정(overcorrection)이 발생해 미용상으로나 기능적으로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는 점이 있다.
하지만 이런 문제가 발생하는 원인과 해결방안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는 상태로 정형외과 의사에게 굉장히 어려운 문제로 남아 있는 상태였다.
건양대병원 정형외과 이도경 교수가 삼성서울병원 왕준호 교수와 함께 시행한 공동 연구를 통해 “근위 경골 절골술은 비교적 젊은 층에게 추천되는 수술적 방법 중 하나로, 매우 유용한 수술이지만 간혹 집도의가 원치 않는 과다교정으로 인한 불편이 생기는 경우가 있었다”며, “이번 연구를 통해 과다 교정이 생기는 원인과 이를 방지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해 정확한 다리 정렬을 통해 안전하고 효과적인 수술을 시행할 수 있을 것이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 저명 학술지인 KSSTA((Knee Surgery Sports Traumatology Arthroscopy)에 ‘Preoperative latent medial laxity and correction angle are crucial factors for overcorrection in medial open-wedge high tibial osteotomy’라는 제목으로 게재됐다.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

관련기사

라이프

메뉴 닫기

주소를 선택 후 복사하여 사용하세요.

뒤로가기 새로고침 홈으로가기 링크복사 앞으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