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리수술을 받은 환자 절반은 반복적 통증 치료가 필요하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이번 연구는 요추 유합술을 받은 환자의 약 절반 가까이가 수술 이후에도 반복적인 통증치료를 받고 있다는 사실을 건강보험 빅데이터를 통해 밝혀낸 것으로, 수술 이후의 통증 관리 필요성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웠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깊다.
중앙대학교광명병원(병원장 정용훈) 재활의학과 김범석·나용재 교수와 고려대학교구로병원 신경외과 권우근 교수가 약 8만 3,000명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요추 유합술 이후 3년간 척추 주사치료의 빈도와 경향을 분석했다.
(중앙대광명병원 나용재·김범석 교수, 고려대구로병원 신경외과 권우근 교수)
연구에 따르면, 수술을 받은 환자 가운데 36.1%는 경막외 차단술, 12.8%는 내측 분지 차단술, 6.2%는 후관절 차단술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중 약 30%는 수술 후 6개월 이내에, 절반 가까이는 1년 이내에 첫 통증 치료를 시작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요추 유합술만으로 통증이 해결되지 않는 경우가 많으며, 수술 후에도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함을 보여준다.
또한 주사 치료를 받은 환자들의 경우, 그렇지 않은 환자보다 재수술 비율이 약 2~3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수술 후 통증 조절의 어려움과 함께 환자 상태에 따라 장기적 치료 계획이 요구된다는 점을 시사한다.
교수팀은 “수술만으로 치료가 완결된다고 보기보다는, 이후 환자의 통증 상태에 따라 다양한 관리 전략이 지속적으로 필요하다”며, “이번 연구는 수술 이후의 현실적인 치료 경로를 건강보험 데이터를 통해 확인한 국내 최초의 대규모 분석으로, 환자 상담이나 치료 계획 수립, 관련 보건의료 정책 마련에 있어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수술 이후 환자의 여정은 끝나지 않았다’는 메시지를 통해, 환자와 의료진 모두 수술 이후의 통증 관리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결과는 유럽 척추학회지(European Spine Journal) 2025년 7월호에 ‘허리 수술 후 통증 관리’에 관한 내용으로 게재됐다.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