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대전공공어린이재활병원지부, 25일 파업 돌입…건양대의료원지부도 파업 - 개원 3년 만에 30명 넘는 경력직 퇴사 “소아재활 회피 병원” 전락 우려 - 건양대의료원지부, 사립대병원 중 최저 임금 구조 개선 요구
  • 기사등록 2025-07-25 18:40:03
  • 수정 2025-07-25 23:20:39
기사수정

보건의료노조가 조정신청을 접수한 127개 의료기관 중 대부분이 타결했지만, 건양대의료원지부와 대전공공어린이재활병원지부만 현재 파업에 돌입한 상태다.


◆ 조정 중지로 파업 불가피

대전공공어린이재활병원지부는 지난 24일 기자간담회를 통해 충남지방노동위원회에 쟁의조정을 신청한 후 15일간의 조정기간 동안 타결을 위해 노력했지만, 사측과 대전시의 불성실 교섭으로 23일 조정이 중지되면서 파업에 돌입하게 됐다고 밝혔다.

당초 건양대학교의료원지부와 함께 총파업 돌입 기자회견을 진행할 예정이었지만, 기자회견 직전 건양대 측과 교섭이 재개되면서 대전공공어린이재활병원지부 단독으로 기자회견이 진행됐다.

◆ 대전시의 무책임한 운영 비판

대전공공어린이재활병원은 지역 장애아동을 위해 건립된 특수목적공공병원으로, 현재 충남대학교병원이 수탁운영하고 있지만 실제 사용자는 대전시라는 주장이다.


▲ “적자 이유로 저임금체계 방치”

대전시는 적자를 이유로 직원들의 희생을 강요하고, 재정 열악을 핑계로 저임금체계를 방치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강혜빈 대전공공어린이재활병원지부장은 “소아재활을 받을 수 있는 환경이 열악하여 재활난민 발생을 막기 위해 대전시가 전국 최초로 공공어린이재활병원을 건립했다”며, “그러나 대전시는 설립 정신과 직원들의 노고는 뒤로 한 채, 적자병원이니까 예산을 최대한 절감하라며 예산 환수를 요구한다”고 비판했다.


▲ 개원 3년 만에 30명 넘는 직원 퇴사

강 지부장은 “병원은 개원한 지 3년도 채 되지 않았고 직원은 100명도 안 되는데 그 사이 30명이 넘는 경력 직원들이 퇴사했다”면서 “이제는 소아치료에 뜻이 있는 직원들이 정착하지 못하는 회피하는 병원이 되어버렸다”고 호소했다.

이어 “대전시에 정말로 예산이 부족한가? 정말 필요한 곳을 외면하지 말고 아주 기본적인 지원부터 즉시 시작해야 한다”고 대전시의 적극적인 지원을 촉구했다.

◆ 노동계 “공공병원 목적에 맞는 운영” 촉구

신문수 보건의료노조 대전충남지역본부장은 “대전공공어린이재활병원은 수익을 내기 위함이 아니라 비용을 지출해서 공익적인 일을 하기 위해서 시에서 설립한 병원”이라며 “그 소중한 뜻을 이어받아서 대전시가 잘 운영하기 위해 책임을 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율현 민주노총 대전본부장은 “이장우 대전시장은 공공의료가 선택이 아니라 국민들의 기본적 권리이고 사회적 책임이라고 이야기했다”면서 “이런 말을 한 시장이 왜 대전공공어린이재활병원은 무책임하게 방치하는가”라고 반문했다.


◆ 건양대의료원지부도 파업

한편, 건양대의료원지부는 파업 5일차인 오는 28일 오전 11시 건양대의료원 1층 로비에서 기자회견을 개최할 예정이다.

건양대의료원 노동자들은 사립대병원 중 가장 낮은 저임금 구조와 인력부족 등 열악한 노동환경 개선을 위해 파업을 벌이고 있다.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

관련기사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10968992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7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 비보존, 한국다이이찌산쿄, 한미약품, GC녹십자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7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 비보존, 신신, 셀트리온, 한국아스트라제네카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7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ST, 머크, 알피바이오, 지씨셀, 큐라클 등 소식
분당서울대병원
아스트라제네카
국립암센터
분당제생병원
경희의료원배너
한림대학교의료원
서남병원
위드헬스케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