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심폐소생술로 급성심장정지 환자 생존율 9.2% 달성…일반인 심폐소생술 시행률도 증가 - 2024년 상반기 급성심장정지조사 통계 발표 - 뇌기능회복률도 6.4%로 전년 대비 0.8%p 상승
  • 기사등록 2025-06-19 00:00:02
기사수정

질병관리청이 2024년 상반기 급성심장정지 환자 1만 6,578건을 조사한 결과, 생존율이 9.2%로 전년 상반기 대비 0.4%p 증가했다.


◆ 급성심장정지 환자 생존율 지속 상승

2024년 상반기 급성심장정지 환자 생존율은 9.2%를 기록했으며, 이는 2023년 상반기 8.8% 대비 0.4%p 증가한 수치다. 


혼자서 일상생활이 가능할 정도로 뇌기능이 회복된 환자의 비율을 나타내는 뇌기능회복률도 6.4%로 전년 상반기 5.6% 대비 0.8%p 상승했다.

생존 상태로 퇴원한 환자는 1,527건이었으며, 뇌기능회복자는 1,053건으로 집계됐다. 


2022년 상반기부터 지속적인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어 목격자 등 현장에서의 빠른 대응이 중요함을 확인할 수 있다.

◆ 일반인 심폐소생술 시행률 30.2% 기록

일반인 심폐소생술 시행률은 30.2%로 2023년 상반기 29.8% 대비 0.4%p 증가했다. 

일반인 심폐소생술이 시행된 경우 생존율은 14.3%, 뇌기능회복률은 11.4%를 보였다. 반면 일반인 심폐소생술이 시행되지 않은 경우 생존율은 6.4%, 뇌기능회복률은 3.6%에 그쳤다.


이는 일반인 심폐소생술이 시행된 경우 생존율이 2.2배, 뇌기능회복률이 3.2배 높은 것으로 나타나 심폐소생술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확인시켜주는 결과다.

◆ 가정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급성심장정지

급성심장정지 발생 원인을 살펴보면 심인성, 뇌졸중 등 질병에 의한 발생이 77.8%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추락, 운수사고, 목맴 등 질병 외 원인은 21.8%였다.

발생 장소별로는 가정, 요양기관 등 비공공장소에서 64.0%가 발생했다. 특히 가정에서의 발생이 전체의 45.1%를 차지했다. 도로나 상업시설 등 공공장소에서의 발생은 17.8%였다.

◆ 질병관리청, 심폐소생술 교육 확대 계획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급성심장정지 환자 생존율 및 뇌기능회복률이 상승 추이를 보이는 것은 일반인의 심폐소생술 시행과 연관된 고무적인 결과”라고 평가했다.

이어 “심폐소생술은 환자의 생존과 회복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며, 현장 목격자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므로 일반인 심폐소생술이 더욱 확대될 수 있도록 교육자료 개발과 공모전 개최와 홍보 등 다양한 노력을 지속해 나가겠다”고 덧붙엿다.

질병관리청은 비의료인인 일반인 구조자의 구조 과정을 포함한 심폐소생술 가이드라인 개정을 위한 작업을 추진 중이며, 2025년 한국 심폐소생술 가이드라인과 2024년 전체 급성심장정지조사 통계를 올해 12월 중 발표할 예정이다.


이번 조사는 질병관리청이 2008년부터 실시하고 있는 급성심장정지조사의 일환이며, 119구급대에 의해 의료기관으로 이송된 급성심장정지 환자 1만 6,782건 중 98.8%인 16,578건에 대한 의무기록조사를 완료한 결과다. 


한편 급성심장정지 관련 정책 및 연구 등에 적시에 활용할 수 있도록 2022년부터 반기 단위로 공표하고 있으며, 상세한 통계자료는 국가손상정보포털에서 확인할 수 있다.

[메디컬월드뉴스]



관련기사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10968212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7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 비보존, 한국다이이찌산쿄, 한미약품, GC녹십자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7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 비보존, 신신, 셀트리온, 한국아스트라제네카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7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ST, 머크, 알피바이오, 지씨셀, 큐라클 등 소식
분당서울대병원
아스트라제네카
국립암센터
분당제생병원
경희의료원배너
한림대학교의료원
서남병원
위드헬스케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