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정형외과 시술 바로알기]어깨에서 ‘툭’ 소리, 관절와순 파열 의심…평소 어깨 사용 ‘주의’
  • 기사등록 2025-05-13 13:40:03
기사수정

우리 인체의 관절 가운데 어깨는 유일하게 360도 회전이 가능한 부위다. 


그만큼 움직임이 많아 불안정하고 힘줄, 근육, 인대 등의 조직에 손상이 생기기 쉽다. 


김포 연세더바른병원 김종진(대한정형외과학회 정회원) 원장은 “다양한 어깨질환 가운데 비교적 생소하지만 흔하게 발생하는 ‘관절와순 파열’을 특히 주의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어깨 관절와순 파열

어깨 관절와순 파열은 팔을 반복적으로 무리해서 사용했을 때 발생하는 질환이다. 


관절와순은 어깨 관절의 뼈 중 견갑골 관절과 가장자리를 둘러싼 섬유질 연골에 해당한다. 


상완골이 어깨뼈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김종진 원장은 “이는 손상 부위에 따라 진단이 달라진다. 위쪽 관절와순이 장두건과 앞쪽부터 뒤쪽까지 뼈에서 떨어진 것을 ‘상부 관절와순 파열(슬랩 병변)’이라 하며, 아래쪽 관절와순이 부착 부위로부터 떨어진 것을 전하방 관절와순 파열(방카르트 병변)이라고 한다.”라고 설명했다.  


◆어깨 관절와순 파열 원인 

원인은 관절순 상부의 압박, 견인, 어깨 관절 내회전 결핍이다. 


어깨 관절 사용량이 많고 움직임이 많은 이들에게 발생하는데 과거에는 주로 야구선수나 운동선수에게 빈번했고, 최근에는 스포츠 활동을 즐기는 20~30대 젊은 층에서 흔히 발생한다. 


야구 외에도 수영, 테니스, 농구 등 팔을 어깨 위쪽으로 휘두르는 스포츠를 즐긴다면 손상될 수 있다. 


김종진 원장은 “이외에도 낙상 등의 사고, 어깨를 부딪혀 다치거나 넘어질 때 손을 바닥에 짚으면서 강한 힘을 주게 된 경우, 팔을 머리 위로 휘두르는 동작을 반복하는 경우에도 일상생활에서 관절와순 파열이 일어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라고 밝혔다.  


◆어깨 관절와순 파열의 주된 증상

어깨 관절와순 파열의 주된 증상은 어깨가 불안정하고 통증이 있는 것이다. 


심하면 어깨가 빠지는 듯한 느낌이 들며 옷을 머리 위로 입고 벗을 때, 팔을 위로 올리거나 뒤로 젖히는 등 특정한 증상에서 통증이 유발된다. 


김종진 원장은 “공을 던지는 운동선수는 구속이 줄어드는 현상이 나타나기도 하고, 갑자기 어깨와 팔에 힘이 빠지는 데드암 증후군이 나타날 수 있다. 해당 질환은 특정할 만한 특징적인 증상이 없으며, 다른 어깨 관절 질환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아 정확한 진단이 어려울 수 있다.”라며, “일반 MRI 검사를 통해서도 잘 보이지 않는 경우가 있어 조영제를 통한 MRI 검사를 권하며, 불명확할 경우 내시경으로 진단 가능하다.”라고 말했다.  


◆증상 진행 정도 따른 적용 

치료의 경우 증상 진행 정도에 따라 다르게 적용할 수 있다. 


손상이 경미하다면 근력 강화 운동, 물리치료 등의 보존 치료를 선행하여 개선을 도모한다.


급성기 통증을 조절하고 관절의 무리한 사용을 제한하는 것만으로 도움이 될 수 있다. 


다만 손상이 심하거나 보존치료로도 호전되지 않는다면 관절와순 손상 정도에 따라 수술을 진행하게 된다. 


찢어진 관절와순을 다듬어 주는 수술, 원래 모양으로 봉합하는 수술 등이 있으며 관절 내시경을 활용하여 관절의 상태를 관찰하면서 치료를 진행하게 된다. 


김종진 원장은 “어깨 관절와순 파열은 운동선수뿐만 아니라 일반인들에게도 발생 빈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퇴행성 변화에 따른 증상도 증가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라며 “조기에 발견해 꾸준히 관리한다면 어깨 관절 건강을 오래 유지할 수 있으니 평소 어깨 사용에 주의를 기울이고, 통증이 있을 시 초기에 내원할 것을 권한다.”라고 강조했다.

[메디컬월드뉴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10967514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3월 18일 병원계 이모저모⑤]성빈센트, 아주대, 중앙대광명, 서남병원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2월 제약사 이모저모]멀츠, 셀트리온, 아피메즈US, 파마코바이오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3~4월 제약사 이모저모]멀츠, 신신제약, 한미, 큐라클, 파로스아이바이오 등 소식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대한간학회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