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이 지난 18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각계 전문가 9인이 참석한 가운데 ‘제1회 전문가 소통자문단’ 회의를 개최하고 국민과의 효과적인 소통 전략을 모색했다.
◆ 생성형 AI 시대, 질병정보 디지털 노출 전략 시급
자문단은 챗GPT 등 생성형 AI를 통한 건강정보 탐색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초기부터 정확한 질병 예방 정보 제공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AI가 부정확한 정보를 학습할 경우 잘못된 정보가 확산되고 다시 학습되는 악순환을 우려했다.
이를 위해 질병관리청의 정책과 연구결과 등 공식 정보는 AI가 자동 학습하기 용이한 형태로 제공돼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특히 ‘검색엔진 최적화’에 맞춘 텍스트 기반 자료 게시를 통해 생성형 AI가 원활히 질병관리청의 정보를 검색하고 학습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 건강정보 이해력 격차 해소로 방역 사각지대 줄여야
이번 회의에서는 건강정보 이해력(리터러시) 격차가 감염병 대응의 사각지대를 만든다는 우려도 제기됐다.
연령, 지역, 언어 배경별 맞춤형 위기소통 콘텐츠 설계로 정보 취약계층의 접근성을 높여야 한다는 지적이다.
▲ 국내 거주 외국인, 고령층, 장애인 등을 위한 쉬운 언어 활용 콘텐츠 개발 필요성, ▲ 정기 국민인식조사에 건강정보 리터러시 항목 포함 제안, ▲ ‘듣는 소통’ 구조 정착으로 방역정책에 국민 관점 반영 필요성 등이 주요 제안으로 논의됐다.
◆ 팬데믹 대응 시 질병관리청 중심 일관된 소통체계 확립 필요
자문단은 코로나19 대응 과정에서 기관별로 발생했던 메시지 혼선 문제를 지적하며, 감염병 관리 주무부처인 질병관리청 중심의 근거기반 일원화된 소통체계 구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공중보건 재난 상황에서 정부부처, 지자체 간 메시지 일관성이 중요하며, 이를 위한 유관조직 간 소통 매뉴얼 및 실행체계 정비가 시급하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또한 조류인플루엔자 인체감염 등 새로운 팬데믹 위험에 대비해 질병관리청 내 소통담당 부서를 넘어선 '전사적 소통 혁신'이 필요하다는 제언도 이어졌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질병관리청의 소통은 단순한 정보전달을 넘어 공중보건 재난 및 일상 속 질병예방 상황에서 국민 안전과 건강을 지키는 핵심 가치이자 중요 정책 수단”이라며, “국가방역 연계 R&D 사업 등과 협력해 국민 행동변화 유도, 위기 시 정책 수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신규 보건소통 과제를 발굴해 가겠다”고 밝혔다.
[메디컬월드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