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폐렴 적정성 평가 결과, 1등급 의료기관 311곳(51.9%) 달성…종별 편차 확인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전국 599개 의료기관 평가 결과 공개 - 상급종합병원 99.2점·종합병원 92.2점·병원 66.8점 - 고령층 폐렴 관리 중요성 부각, 80세 이상 환자 비율 32.3% 차지
  • 기사등록 2025-07-18 10:47:38
기사수정

경희대, 고려대, 국립암센터, 동탄성심, 보라매,  분당서울대, 분당제생, 세브란스, 삼육서울, 이대서울, 중앙대, 한양대병원 등 전국 599개 의료기관 중 311기관(51.9%)이 폐렴 적정성 평가 결과 1등급을 받앗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강중구)이 18일 발표한 2023년(6차) 폐렴 적정성 평가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 599개 병원 대상 6개월간 진료 분석

이번 평가는 2023년 10월부터 2024년 3월까지 6개월간 지역사회획득 폐렴 입원이 10건 이상인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평가 대상은 상급종합병원 46기관, 종합병원 304기관, 병원 249기관으로 총 599기관이며, 지역사회획득폐렴으로 입원하여 항생제를 3일 이상 투여한 18세 이상 성인 환자 4만 5,509건이 분석됐다.

◆ 상급종합병원 99.2점…병원 66.8점 격차

종합점수 전체 평균은 82.9점이지만 상급종합병원이 99.2점, 종합병원이 92.2점, 병원 66.8점으로 종별 편차를 보였다. 

등급별로는 1등급 311기관(51.9%), 2등급 123기관(20.6%), 3등급 76기관(12.7%), 4등급 44기관(7.3%), 5등급 11기관(1.8%)으로 분포했다.

1등급 의료기관은 전국 모든 권역에 걸쳐 분포해 있으며, 지역별로는 서울 44기관(72.1%), 경인 73기관(57.9%), 제주 6기관(85.7%) 등 다양한 비율을 보였다.


◆ 80세 이상 환자 3명 중 1명, 중증도 관리 시급

평가대상을 연령별로 살펴보면, 60세 이상이 75.0%를 차지했고 그 중에서 32.3%는 80세 이상으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특히 80세 이상 환자의 중증도 분포는 경증 33.9%, 중등도 44.5%, 중증 20.6%로 나타나 고령층 폐렴 관리의 중요성이 확인됐다.


◆ 산소포화도 검사율 96.4%, 4차 대비 개선

5개 평가지표 모두에서 4차 평가 대비 향상된 결과를 보였다. 

산소포화도검사 실시율이 96.4%로 4차 평가 81.9% 대비 14.5%포인트 상승해 가장 큰 폭으로 향상됐다. 

중증도 판정도구 사용률은 83.6%로 4차 평가 71.9% 대비 11.7%포인트 향상됐다.


▲ 원인균 파악 위한 검사 강화

객담배양검사 처방률은 82.0%, 첫 항생제 투여 전 혈액배양검사 실시율은 95.0%로 4차 평가 대비 각각 0.4%포인트, 1.1%포인트 향상됐다. 

폐렴의 원인균은 다양하므로 효과적인 치료를 위해서는 원인균을 파악하고, 적절한 항생제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이 반영된 결과다.


▲ 골든타임 8시간 내 적절한 항생제 투여

병원 도착 8시간 이내 적합한 첫 항생제 투여율은 6차 평가부터 통합된 지표로 93.2%로 나타났다. 

이는 기존의 ‘병원도착 8시간 이내 항생제 투여율’과 ‘초기 항생제 선택의 적합성’이 통합된 것으로, 입원초기 빠른 항생제 투여가 사망률 감소에 효과적이라는 보고에 따라 적합한 항생제를 신속히 투여하는 것이 권장된다.

◆ 2014년 시작된 폐렴 치료 품질 관리 체계

심평원은 2014년부터 폐렴 적정성 평가를 시행하여 폐렴 진단 및 치료의 질을 향상시켜 환자가 전국 어디서나 적절한 진료와 질 높은 의료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번 6차 평가는 평가대상 기관 수와 건수 모두 5차 대비 증가했으나, 5차 평가는 코로나19 팬데믹의 영향으로 대상건수가 대폭 감소해 기존 평가와는 다른 양상을 보여, 평가대상이 유사한 4차 평가결과와 비교 분석했다.


전미주 평가운영실장은 “폐렴은 암, 심장질환에 이어 우리나라 전체 사망원인 3위를 차지하는 위험한 질환으로, 특히 고령층에서 사망률이 높아 노인 인구가 많은 우리 사회에서 매우 중요한 건강문제로 대두되고 있다”며, “고령층에서 폐렴 질환은 중요한 건강 문제인 만큼, 폐렴 평가를 통해 치료의 질을 지속적으로 개선하여 안전한 진료환경을 구축하는 데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권역별 1등급 의료기관은 ▲강북삼성병원, ▲건국대학교병원, ▲경희대학교병원, ▲고려대학교의과대학부속구로병원, ▲삼성서울병원, ▲서울대학교병원, ▲연세대학교의과대학 강남세브란스병원, ▲연세대학교의과대학세브란스병원, ▲이화여자대학교의과대학부속목동병원, ▲재단법인아산사회복지재단 서울아산병원, ▲중앙대학교병원, ▲학교법인 고려중앙학원 고려대학교의과대학부속병원(안암병원), ▲학교법인가톨릭학원가톨릭대학교서울성모병원, ▲한양대학교병원, ▲가톨릭대학교 여의도성모병원, ▲가톨릭대학교 은평성모병원, ▲강동경희대학교의대병원, ▲경찰병원, ▲구로성심병원, ▲국립중앙의료원, ▲노원을지대학교병원, ▲녹색병원, ▲명지성모병원, ▲부민병원, ▲삼육서울병원,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 ▲서울특별시서남병원, ▲서울특별시서울의료원, ▲성심의료재단강동성심병원, ▲성애의료재단 성애병원, ▲세란병원, ▲순천향대학교 부속 서울병원, ▲의료법인 청구성심병원, ▲의료법인동신의료재단 동신병원, ▲의료법인서울효천의료재단 에이치플러스양지병원, ▲의료법인한전의료재단 한일병원, ▲이화여자대학교의과대학부속서울병원, ▲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 중앙보훈병원, ▲한국원자력의학원원자력병원, ▲한림대학교 강남성심병원, ▲혜민병원, ▲홍익병원, ▲은평연세병원,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 ▲가톨릭대학교인천성모병원, ▲고려대학교의과대학부속안산병원,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순천향대학교부속부천병원, ▲아주대학교병원, ▲의료법인 길의료재단 길병원, ▲인하대학교의과대학부속병원, ▲한림대학교성심병원, ▲(의)나사렛의료재단 나사렛국제병원, ▲(의)성세의료재단 뉴성민병원, ▲(의)영문의료재단 다보스병원, ▲가톨릭관동대학교 국제성모병원, ▲가톨릭대학교부천성모병원, ▲가톨릭대학교의정부성모병원, ▲검단탑병원, ▲경기도의료원 수원병원, ▲경기도의료원 이천병원, ▲경기도의료원포천병원, ▲광명성애병원, ▲국립암센터, ▲국민건강보험공단일산병원, ▲남양주 한양병원, ▲대아의료재단한도병원, ▲대진의료재단 분당제생병원, ▲동국대학교일산불교병원, ▲메디인병원, ▲부천세종병원, ▲부천우리병원, ▲부평세림병원, ▲성남시의료원, ▲순천의료재단 성남정병원,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용인세브란스병원, ▲오산한국병원, ▲온누리병원, ▲원광대학교 산본병원, ▲의료법인 남촌의료재단 시화병원, ▲의료법인 녹산의료재단동수원병원, ▲의료법인 록향의료재단 신천연합병원, ▲의료법인 명인의료재단 화홍병원, ▲의료법인 박애의료재단 박애병원, ▲의료법인 성수의료재단 인천백병원, ▲의료법인 양진의료재단 평택성모병원, ▲의료법인 인천사랑병원, ▲의료법인 토마스의료재단 윌스기념병원, ▲의료법인 플러스의료재단 단원병원, ▲의료법인대인의료재단 다니엘종합병원, ▲의료법인루가의료재단 나은병원, ▲의료법인명지의료재단명지병원, ▲의료법인백송의료재단 굿모닝병원, ▲의료법인우리의료재단김포우리병원, ▲의료법인인봉의료재단뉴고려병원, ▲의료법인일심의료재단우리병원, ▲인제대학교일산백병원, ▲인천광역시의료원, ▲인천세종병원, ▲인천힘찬종합병원, ▲중앙대학교광명병원, ▲차의과학대학교분당차병원, ▲참조은병원, ▲학교법인 을지학원 의정부을지대학교병원, ▲한림대학교동탄성심병원, ▲한림병원, ▲한양대학교구리병원, ▲현대병원, ▲효산의료재단 안양샘병원, ▲부천중앙병원, ▲엘병원, ▲의료법인일산복음병원, ▲의료법인해인의료재단 강화병원,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 인천보훈병원, ▲호원병원, ▲히즈메디병원, ▲강릉아산병원, ▲연세대학교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강원대학교병원, ▲강원특별자치도강릉의료원, ▲강원특별자치도속초의료원, ▲강원특별자치도영월의료원, ▲의료법인 강릉동인병원, ▲한림대학교부속 춘천성심병원, ▲철원병원, ▲단국대학교의과대학부속병원, ▲충남대학교병원, ▲충북대학교병원, ▲학교법인 건양교육재단 건양대학교병원, ▲건국대학교 충주병원, ▲당진종합병원, ▲대전보훈병원, ▲대청병원, ▲세종충남대학교병원, ▲순천향대학교부속 천안병원, ▲아산충무병원, ▲의료법인 건명의료재단 중앙제일병원, ▲의료법인 명지의료재단 명지병원, ▲의료법인 백제병원, ▲의료법인 영서의료재단 천안충무병원, ▲의료법인 영훈의료재단 대전선병원, ▲의료법인 인화재단 한국병원, ▲의료법인영훈의료재단 유성선병원, ▲의료법인한마음의료재단하나병원,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부속 보령아산병원, ▲청주성모병원, ▲충청남도 공주의료원, ▲충청남도 천안의료원, ▲충청남도 홍성의료원, ▲충청북도 청주의료원, ▲충청북도 충주의료원, ▲학교법인 가톨릭학원 가톨릭대학교 대전성모병원, ▲학교법인 을지학원 대전을지대학교병원, ▲원광대학교병원, ▲전남대학교병원, ▲전북대학교병원, ▲조선대학교병원, ▲KS병원, ▲광주기독병원, ▲광주병원, ▲광주보훈병원, ▲광주센트럴병원, ▲광주일곡병원, ▲광주희망병원, ▲나주종합병원, ▲대자인병원, ▲동아병원, ▲목포기독병원, ▲목포시의료원, ▲목포한국병원, ▲미래로21병원, ▲상무병원, ▲선한병원, ▲성가롤로병원, ▲신가병원, ▲여수전남병원, ▲여천전남병원, ▲영광종합병원, ▲의료법인 오성의료재단 동군산병원, ▲의료법인거명의료재단 영광기독병원, ▲의료법인목포구암의료재단 목포중앙병원, ▲의료법인영경의료재단전주병원, ▲의료법인영성의료재단 고흥종합병원, ▲의료법인청언의료재단 순천제일병원, ▲의료법인한국의료재단 순천한국병원, ▲의료법인행촌의료재단 해남종합병원, ▲의료법인현경의료재단 광양서울병원, ▲익산병원, ▲재단법인예수병원유지재단예수병원, ▲전라남도 순천의료원, ▲전북특별자치도 군산의료원,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의료원, ▲전주고려병원, ▲첨단종합병원, ▲하남성심병원, ▲해남우리종합병원, ▲광주굿모닝병원, ▲구례병원, ▲목포현대병원, ▲솔튼병원, ▲에스케이제이병원, ▲의료법인대송의료재단 곡성사랑병원, ▲익산제일병원, ▲정읍한국병원, ▲한사랑병원, ▲화순중앙병원, ▲경북대학교병원, ▲경상국립대학교병원, ▲계명대학교동산병원, ▲고신대학교복음병원, ▲대구가톨릭대학교병원, ▲동아대학교병원, ▲부산대학교병원, ▲양산부산대학교병원, ▲영남대학교병원, ▲인제대학교부산백병원, ▲칠곡경북대학교병원, ▲학교법인 울산공업학원 울산대학교병원, ▲학교법인성균관대학삼성창원병원, ▲(재)미리내천주성삼성직수도회천주성삼병원, ▲경상남도마산의료원, ▲경상북도김천의료원, ▲계명대학교대구동산병원, ▲곽병원, ▲구미강동병원, ▲구포성심병원, ▲나사렛종합병원, ▲대구가톨릭대학교 칠곡가톨릭병원, ▲대구의료원, ▲대구파티마병원, ▲대동병원, ▲동국대학교의과대학경주병원, ▲동남권원자력의학원, ▲동래봉생병원, ▲드림종합병원, ▲베데스다복음병원, ▲부산성모병원(재단법인 천주교부산교구유지재단), ▲비에이치에스한서병원, ▲삼육부산병원, ▲삼일병원, ▲상주적십자병원, ▲순천향대학교 부속 구미병원, ▲안동성소병원, ▲영남대학교의과대학부속영천병원, ▲영도병원, ▲울산병원, ▲울산엘리야병원, ▲의료법인 거붕 백병원, ▲의료법인 광혜의료재단 광혜병원, ▲의료법인 근원의료재단 경산중앙병원, ▲의료법인 대우의료재단대우병원, ▲의료법인 동강의료재단 동강병원, ▲의료법인 서명의료재단 세명병원, ▲의료법인 성념의료재단맑은샘병원, ▲의료법인 송은의료재단 울산시티병원, ▲의료법인 온그룹의료재단 온종합병원, ▲의료법인 은성의료재단 좋은강안병원, ▲의료법인 은성의료재단 좋은삼정병원, ▲의료법인 인당의료재단 부민병원, ▲의료법인 인당의료재단 해운대부민병원, ▲의료법인구의료재단 구병원, ▲의료법인덕산의료재단김천제일병원, ▲의료법인동춘의료재단문경제일병원, ▲의료법인삼백의료재단상주성모병원, ▲의료법인숭인의료재단 김해복음병원, ▲의료법인안동병원, ▲의료법인은성의료재단좋은삼선병원, ▲의료법인은성의료재단좋은선린병원, ▲의료법인정화의료재단 봉생기념병원, ▲의료법인청아의료재단청아병원, ▲의료법인한성재단포항세명기독병원, ▲인제대학교 해운대백병원, ▲제일병원, ▲진주고려병원, ▲차의과학대학교부속구미차병원, ▲창원경상국립대학교병원, ▲창원파티마병원, ▲창원한마음병원, ▲포항성모병원, ▲학교법인 춘해병원, ▲학교법인)동의병원,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 대구보훈병원,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 부산보훈병원, ▲한일병원, ▲(의)서일의료재단기장병원, ▲경주센텀병원, ▲반도병원, ▲부산본병원, ▲삼성합천병원, ▲삼천포제일병원, ▲영덕아산병원, ▲우리허브병원, ▲의료법인구암의료재단 시티병원, ▲의료법인대남의료재단청도대남병원, ▲의료법인백산의료재단K마디병원, ▲의료법인성신의료재단 다대수병원, ▲의료법인승연의료재단 삼천포서울병원, ▲진주복음병원, ▲통영적십자병원, ▲하나병원, ▲한사랑내과병원, ▲함양성심병원, ▲화명일신기독병원(재단법인 한.호기독교선교회), ▲희망병원, ▲의료법인 중앙의료재단 중앙병원, ▲의료법인 혜인의료재단 한국병원, ▲제주대학교병원,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의료원, ▲제주한라병원, ▲한마음병원 등 총 311기관이다. 


▲2023년(6차) 폐렴 적정성 평가 결과, ▲권역별 1등급 의료기관 분포 세부현황 등은 (메디컬월드뉴스 자료실)을 참고하면 된다.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

관련기사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10968837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7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 비보존, 한국다이이찌산쿄, 한미약품, GC녹십자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7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 비보존, 신신, 셀트리온, 한국아스트라제네카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7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ST, 머크, 알피바이오, 지씨셀, 큐라클 등 소식
분당서울대병원
아스트라제네카
국립암센터
분당제생병원
경희의료원배너
한림대학교의료원
서남병원
위드헬스케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