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병원 10곳 중 9곳은 소아응급실 대체 역할을 수행하고 있지만 응급환자 10명 중 7명 이상은 3차 병원 이송도 어렵다는 조사결과가 발표됐다.
대한아동병원협회(회장 최용재)는 6월 30일 인터컨티넨탈서울코엑스HL층 안단테룸에서 개최한 ‘아동병원의 소아응급실화 대책 촉구 기자회견’에서 이같은 설문결과를 발표했다.
[사진 : 이호준 부회장, 정성관 부회장, 최용재 회장, 이창연 부회장]
최용재 회장은 “소아의료체계 붕괴로 인해 중증·응급 진료 장비가 부족한 아동병원으로 오면서 소아응급실 역할까지 수행하고 있다. 아동병원은 응급실이 아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준비가 안되어 있는 상황인데 최근 준중증 응급환아들이 아동병원으로 오면서 상당히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라며, “도저히 견딜 수 없는 상황이어서 기자회견을 개최하게 됐다.”라고 밝혔다.
또 다른 문제는 아동병원 10곳 중 7곳은 내원한 응급환아를 소아응급의료센터 등 상급종합병원에 전원하는 데에도 큰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조사됐다.
실제 아동병원협회에서 지난 27일부터 29일까지 회원 아동병원 117곳 중 50곳이 참여한 설문조사 결과, 아동병원 90%가 소아응급실의 대체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급차로 들어오는 매월 응급 환아수가 5명 이하라고 답한 경우는 56%, 6∼10명 22%, 11∼15명 4%, 16명 이상 6%였다. 한 아동병원은 구급차로 이송된 소아 응급 환아가 120명로 조사됐다.
아동병원이 지난 한 달간 구급차로 이송받은 소아 환자 중 준중증 이상 환자는 5건 이하가 52%, 6∼10건 10%였다.
구급차로 들어온 중증 소아 환자를 다시 상급종합병원으로 보내기도 매우 어렵다는 응답이 72%로 조사됐다.
이들이 중증 응급환자를 대학병원으로 전원 시, 환자 한명당 연락해 본 병원은 몇 곳이냐는 질문에는 5곳 이하가 90%로 가장 많았다. 6∼10곳은 6%였다.
중증 환자 중 지난 한 달간 환자가 거주하는 지역을 벗어나 다른 병원으로 전원되는 비율은 50% 정도였다.
최 회장은 “응급실이 없는 지역 아동병원이 준중증 응급 환자를 보는 비율이 높아지고 있어 의료사고 위험에 크게 노출되는 추세이다.”라며, “거주지를 벗어난 장거리 전원은 환자에게 적시에 적절한 치료를 제공하지 못할 위험이 있다. 소아 중환자 이송과 수용을 위한 대책이 절실하다는 사실을 시사한다.”라고 설명했다.
아동병원협회 정성관(우리아이들의료재단 이사장) 부회장은 “아동병원은 응급 환아 이송이 안 될 경우 여러 명의 의사와 간호사를 투입해야 하는 부담과 법적 책임까지 감당하는 이중고를 겪고 있다.”라며, “응급환아가 구급차로 내원할 경우 일반 진료는 전혀 할 수 없어 일반 환아들의 진료가 밀리는 등 불만도 크다.”라고 밝혔다.
이어 “아동병원 소아응급실화에 대한 법적, 제도적, 정책적 대책이 마련돼야 응급환아도, 아동병원도 최상의 환경에서 최상의 진료와 진료 서비스를 받을 수 있을 것이다.”라고 강조했다.
아동병원협회 이창연(부산아이사랑병원장) 부회장은 “아동병원의 소아응급실화는 내년부터 더욱 심각해질 전망이다.”라며, “올해안에 대책을 마련, 조속히 시행해야 응급환아의 진료에 만전을 기할수 있다.”라고 말했다.
최 회장은 “아동병원의 소아응급실 기능을 원한다면 할 수는 있다. 다만 이에 따른 물적, 인적, 재정적 지원이 필수적이다.”라며, “정부는 현재 빈사 상태인 소아 의료를 되살릴 수 있는 정책 개발에 역량을 집중해달라.”라고 강조했다.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109618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