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이상지질혈증 진료지침 개정판이 발표돼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한국지질·동맥경화학회 김상현(보라매병원 순환기내과 교수) 진료지침이사는 지난 16일 콘래드호텔서울에서 개최한 제11회 국제학술대회 ICoLA 2022 with APSAVD(International Congress on Lipid & Atherosclerosis with Asian-Pacific Society of Atherosclerosis and Vascular Disease) 개최 기념 기자간담회에서 ‘2022 이상지질혈증 진료지침 개정 의의와 주요 개정사항’을 소개했다.
이번 지침은 2018년 이후 약 4년만에 개정되는 것이다.
김상현 이사는 “새롭게 업데이트된 이번 지침은 지난 4년 간 축적된 이상지질혈증 분야의 최신 국내외 연구결과들을 반영하고, 국내 임상 환경에 적합하게 개정했다”고 밝혔다.
이번 진료지침에서 주목할 부분은 심혈관 위험도 분류에 따라 LDL 콜레스테롤 목표치를 세분화하고 한층 강화한 점이다.
◆관상동맥질환 자세하게 서술 등
우선 심혈관질환 초고위험군인 관상동맥질환에 대한 부분을 보다 자세하게 서술했고, LDL 콜레스테롤 치료 목표를 기존의 70mg/dL보다 낮은 55mg/dL로 권고했다.
또 유병기간 및 주요 심혈관질환 위험인자 동반 개수에 따라 당뇨병과 뇌졸중의 위험도를 세분화했다.
◆스타틴, 주된 치료 약제로 권고 등
심혈관 위험군별 치료 전략에서는 스타틴을 주된 치료 약제로 권고하고, 목표 LDL 콜레스테롤 수치 도달하지 않은 경우에 추가 투여하는 에제티미브, 초고위험군에서 세 번째로 투여하는 PCSK9 억제제에 대한 권고 수준을 상향 조정했다.
◆식사와 운동 관리, 실질적 내용 권고 등
고중성지방혈증 치료를 식사요법, 아이코사펜트 에틸(Icosapent ethyl), 피브레이트(fibrate) 및 오메가-3 지방산에 대한 권고 내용을 세분하여 기술하고, 식사와 운동 관리도 실질적인 내용으로 권고했다.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