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헬스케어, IoT가전, 미래형자동차, 스마트·친환경선박, 항공·드론 등 시스템분야 5개 유망신산업에 대한 ‘유망신산업 산업기술인력 전망’이 발표됐다.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에 따르면 2020년말 기준 5개 유망신산업 산업기술인력 현원은 24만 2,487명이다. 2018년말 기준 결과(16만 57명) 대비 약 1.5배 증가했다.
2020년말 기준 부족인원은 1만 892명, 부족률은 4.3%로 2018년말 기준 결과(부족인원 6,754명, 부족률 4.0%) 대비 확대됐다.
특히 대졸 부족률은 5.9%로 인력 공급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10년간 현원은 연 평균 4.6% 씩 증가해 2030년에는 약 38만명이 될 것으로 전망됐다.
세부적으로 5개 신산업분야 내용은 다음과 같다.
◆5개 신산업별 조사 및 전망 세부내용
(표)5개 신산업분야 현원 및 부족률
▲디지털헬스케어
2018년 3만 8,050명에서 2020년 4만 9,253명으로 약 1.3배 증가됐다.
부족인원은 2018년 2,900명(부족률 7.1%)에서 2020년 3,507명(6.6%)으로 증가했지만 현원대비 부족률은 0.5%p 하락했다.
2020년 말 기준 학력별 부족률은 고졸 0.9%, 전문대졸 3.2%, 대졸 9.5%, 석·박사 5.5%이다.
향후 10년간 약 2.9만명 증가(연평균증가율 4.7%)해 2030년도에는 7만 8,279명이 될 것으로 전망됐다.
▲미래형자동차
2018년 5만 533명에서 2020년 7만 2,326명으로 약 1.4배 증가됐다.
부족인원은 2018년 1,827명(부족률 3.5%)에서 2020년 2,644명(3.5%)으로 증가했지만 현원대비 부족률은 동일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2020년 말 기준 학력별 부족률은 고졸 3.3%, 전문대졸 4.5%, 대졸 3.6%, 석·박사 1.3% 등이다.
향후 10년간 약 3.5만명 증가(연평균증가율 4.0%)돼 2030년도에 10만 7,551명이 될 것으로 전망됐다.
▲IoT가전
2018년 3만 1,102명에서 2020년 6만 8,831명으로 약 2.2배 증가했다.
부족인원은 2018년 880명(부족률 2.8%)에서 2020년 2,268명(3.2%)으로 증가했고, 현원대비 부족률도 0.4%p 상승했다.
2020년 말 기준 학력별 부족률은 고졸 0.9%, 전문대졸 2.8%, 대졸 5.5%, 석·박사 3.4% 등이다.
향후 10년간 약 4만명 증가(연평균증가율 4.7%), 2030년도 10만 8,965명이 될 것으로 전망됐다.
▲스마트·친환경선박
2018년 3만 5,549명에서 2020년 4만 4,737명으로 약 1.3배 증가했다.
부족인원은 2018년 932명(2.6%)에서 2020년 1,759명(3.8%)으로 증가해 현원대비 부족률도 1.2%p 상승했다.
2020년 말 기준 학력별 부족률은 고졸 2.0%, 전문대졸 4.1%, 대졸 5.4%, 석·박사 3.7%이다.
향후 10년간 약 2.9만명 증가(연평균증가율 5.2%)해 2030년도 7만 4,162명이 될 것으로 전망됐다.
▲항공·드론
2018년 4,823명에서 2020년 7,340명으로 증가해 약 1.5배 증가했다.
부족인원은 2018년 215명(4.3%)에서 2020년 714명(8.9%)으로 증가해 현원대비 부족률도 4.6%p 상승했다.
2020년 말 기준 학력별 부족률은 고졸 13.8%, 전문대졸 7.5%, 대졸 7.8%, 석·박사 3.9%이다.
향후 10년간 약 4,000명 증가(연평균증가율 4.2%)해 2030년도에는 약 1만 1,128명으로 전망됐다.
◆범부처 인력양성 협업 지속 강화
산업부는 2021년 시스템분야 전망에 이어, 2022년 부품·장비분야(4개), 2023년 소재분야(4개)를 조사·전망을 진행한다는 계획이다.
이러한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산업계의 인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산업기술인력 양성 및 공급 정책을 적극 추진하고, 신산업 산업기술인력 전망 결과를 교육부·고용부 등 관계부처에 제공하고 범부처 인력양성 협업을 지속 강화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메디컬월드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