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병원성대장균 식중독 다발 주요 식품…채소류〉육류 순 - 식약처, 여름철 병원성대장균 식중독 예방 주의 당부…식중독 예방 3대 요…
  • 기사등록 2018-05-24 23:43:37
기사수정

병원성대장균 식중독을 일으키는 주요 식품은 채소류 〉육류 〉복합조리식품(김밥 등) 순으로 조사됐다. 


채소의 경우, 병원성대장균에 오염된 상추, 부추, 오이 등을 깨끗한 물로 세척하지 않고 세척했어도 상온에 장시간 방치한 후 섭취함에 따라 병원성대장균 식중독이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실제 최근 5년간(2013~2017년) 여름철(6~8월) 병원성대장균 식중독 원인식품(환자수 기준)의 경우 채소류(34%) > 육류(16%) > 복합조리식품(3%)순이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류영진)는 일찍 찾아온 더위로 병원성대장균  식중독 발생위험이 높아짐에 따라 음식물의 조리·보관·섭취에 각별한 주의도 당부했다.


병원성대장균 식중독은 고온·다습한 여름에 주로 발생하며, 최근 이른 더위 등 기후 변화에 따라 해마다 증가하는 추세이다.


병원성대장균 식중독은 분변에 오염된 물, 오염된 용수로 세척한 채소, 도축과정에서 오염된 육류 등을 통해 이뤄진다.


특히 분변, 축산 폐수 등에 오염된 지하수, 하천수를 사용하여 채소를 재배하면 채소가 병원성대장균에 오염될 수 있다. 


병원성대장균 식중독 주요증상은 묽은 설사, 복통, 구토, 피로, 탈수 등이 있다. 


병원성대장균 식중독 예방을 위한 식품안전 관리 방법은 다음과 같다.

▲개인 위생을 위해 조리할 때는 조리 전 비누 등 손세정제를 사용하여 30초 이상 손을 씻어야 한다. 

▲닭 등 가금류, 수산물, 육류 등을 세척할 시에는 주변에 날로 섭취하는 채소, 과일 등에 물이 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칼·도마도 교차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조리가 되지 않은 식품과 이미 조리가 된 식품을 구분해서 사용해야 한다. 


▲채소류는 염소 소독액(가정에서는 식초 사용 가능) 등으로 5분이상 담근 후 물로 3회이상 세척하고, 절단 작업은 반드시 세척 후에 해야 한다.  

또 세척 소독된 채소 등 식재료를 상온에 2시간 이상 방치하지 말아야 한다.  

▲육류, 가금류, 계란 및 수산물은 내부까지 완전히 익도록 충분히 가열 조리해야 한다. 

조리된 음식은 상온에 방치하지 말고 가능한 빨리 2시간 이내에 섭취해야 한다.


식약처 식품소비안전국 식중독예방과는 “기온이 높아지는 시기에는 ‘손씻기, 익혀먹기, 끓여먹기’식중독 예방 3대 요령을 항상 준수해야 한다”며, “냉장고 소독, 음식물의 조리·보관 등 위생적 취급에 각별한 주의를 당부한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10925825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5~6월 제약사 이모저모]한국존슨앤드존슨, 한미약품, 한올바이오파마, 한국GSK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5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제약, 셀트리온, 사노피, 한국MSD, 한독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5월 23일 병원계 이모저모④]국립암센터, 서울대, 삼성창원, 이대목동병원 등 소식
위드헬스케어
한국화이자제약
GSK2022
한국얀센
한국MSD 202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