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두가 콜레스테롤 수치 개선 및 다이어트에도 효과적이라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숙명여대와 ICAN 영양교육연구소 공동 연구팀은 호두의 섭취가 지질대사지표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임상실험을 통해 허리둘레 수치에 따른 소그룹 별 호두 섭취 효과를 조사했다.
그 결과 16주 동안 45그램의 호두를 매일 섭취한 89명의 한국 성인 중 여성의 경우 허리둘레가 85센티미터 이상, 남성의 경우 90 센티미터 이상의 대사증후군 기준치를 넘는 48명의 그룹에서 콜레스테롤 수치 개선이 더 크게 나타났다.
이번 연구에 참여한 ICAN 영양교육연구소 박현진 박사는 “호두를 섭취하게 되면 호두에 풍부하게 함유된 식물성 단백질과 섬유소를 복합적으로 섭취하게 되어 포만감 증진과 공복감 해소 등에 도움이 된다. 또 호두에 풍부한 식물성 오메가-3 지방산은 체내 지방산 산화를 증가시켜 체중과 허리둘레 관리에 도움이 된다”며, “하지만 이러한 호두 섭취의 효과는 단기간 과량 섭취하는 것 보다, 적당량을 꾸준히 섭취했을 때 나타난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ACTA Scientific Nutritional Health 2018년 5월호에 게재됐다.
한편 중국과학원 상하이 생명과학연구소 내 영양과학연구소의 연구에 따르면, 호두가 포함된 식단을 꾸준히 매일 섭취하면 복부 비만이 줄어들고 몸무게를 조절하며 대사증후군을 개선시키는 것으로 보고한 바 있다.
또 다수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호두를 포함하는 식단으로 체중이 증가되지는 않으며, 호두를 위주로 섭취하는 지중해성식단의 경우 몸 속 지방을 재배치하여 지방질이 좀 더 이상적으로 분포되도록 도와주며, 호두를 섭취하는 경우 포만감을 줄 뿐 아니라 배고픔과 식탐을 조절하는 뇌 부분을 활성화 시켜 다이어트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대사증후군이란 복부비만, 혈압상승, 중성지방상승, HDL 콜레스테롤 저하, 공복혈당상승과 같은 심혈관질환 주요 위험인자들의 복합체이다.
대사증후군이 위험한 이유는 사망과 밀접한 질병의 근원이 되기 때문인데, 만성적인 대사 장애로 인해 허리둘레, 혈압, 중성지방, HDL 콜레스테롤, 공복혈당 등 5가지 심혈관 질환의 주요 위험인자 중 3개 이상이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대사증후군으로 진단하고 있다.
특히 허리둘레는 단순히 날씬한 몸매를 위해 관리해야 하는 외적인 요소뿐 아닌 몸 속 건강유지를 위한 중요한 의학적 요소이기도 한 것이다.
최근 허리둘레가 증가했다면 원인은 육류 및 기름진 음식, 단 음식의 섭취는 증가한 반면 신체 활동 및 운동량은 감소하고 스트레스가 증가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대사증후군은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만큼 단일한 치료법이 없어 전반적으로 생활 습관을 개선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 그 중에서 특히 식이요법과 운동을 통해 복부 비만을 교정하는 것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