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친환경 식품 사야 하는 첫 번째 이유는?…온실가스 대량 방출 차단 효과 - 친환경 식품과 일반 식품, 영양적으론 별 차이 없어
  • 기사등록 2018-03-21 00:23:52
기사수정

친환경(유기농) 식품을 구입하는 것은 온실가스(이산화탄소)의 대량 배출을 막는 환경 친화적 행동이라는 발표가 나왔다.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에 따르면 호주 ABC 방송은 ‘친환경 과일·채소에 더 많은 비용을 지불할 가치가 있나?’(Are organic fruit and vegetables worth the extra cost?)란 13일자 온라인 기사에서 친환경 식품의 여러 가치를 평가했다.  


이 기사에서 ‘친환경 식품이 영양적으로 더 우수한가?’에 대해 건강을 위해 일반식품 대신 비싼 친환경(유기농) 식품을 사는 사람은 대부분 친환경 과일·채소에 영양소가 더 풍부할 것으로 기대하지만 명확한 결론을 내리긴 힘들다고 봤다. 


과일·채소·곡류 등 신선식품은 친환경 여부와 상관없이 영양의 질에서 현격한 차이를 보인다는 것이다. 같은 나무에서 딴 두 개의 사과도 서로 다른 영양소 구성과 함량을 갖고 있다는 것을 예로 들었다. 


가끔 친환경 식품이 일반 식품보다 더 나은 영양소 구성을 가질 수 있지만 이를 일반화할 순 없다고 했다. 2014년에 발표된 한 리뷰 논문에 따르면 친환경 과일에 더 많은 양(일반식품 대비)의 항산화 성분이 함유돼 있었다. 


그러나 이 연구결과를 모든 전문가가 동의하는 것은 아니라고 기사는 전했다. 천연식품의 영양은 기후·토지·가공 방법 등 다양한 변수의 영향을 받는다는 것이다. 


친환경 식품이 일반식품에 비해 경쟁력이 있는 것은 상대적으로 더 최근에 수확된 식품이라고 기사에서 지적됐다. 이런 점 때문에 친환경 식품에 영양소가 더 많이 들어 있을 가능성은 있다고 봤다.  


친환경 식품 재배 시 합성 농약의 사용이 허용되지 않다는 것도 장점으로 꼽혔다. 


미국의 비영리 환경단체인 EWG(the Environmental Working Group)는 매년 농약 잔류 가능성이 가장 높은 12가지 채소·과일 목록, 즉 ‘더러운 12가지’(dirty dozen)를 발표한다.  미국의 환경단체는 ‘더러운 12가지’에 포함된 채소·과일은 가능한 한 친환경 식품으로 구입할 것을 추천한다. 


이 목록은 미국 식품의약청(FDA)의 48개 식품에 대한 잔류 농약 검사 결과를 근거로 한다. 따라서 이 ‘더러운 12가지’ 리스트는 미국 밖의 나라나 지역에선 별 의미가 없다. 


이 기사에서 친환경 식품을 선택해야 하는 가장 큰 이유로 친환경 식품이 일반식품보다 더 지속 가능하다는(sustainable) 점을 들었다. 


친환경 농업에선 수용성(水溶性) 질소와 인 함유 비료의 사용이 불허돼 환경에 대한 부담이 훨씬 적다는 것이다. 질소 비료 1㎏을 생산하려면 약 1ℓ의 화석연료(석탄·석유 등)이 필요하다. 질소 비료에선 엄청난 양의 이산화탄소(온실가스)가 대기에 방출된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10924687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3~4월 제약사 이모저모]동국제약, 멀츠, 온코닉테라퓨틱스, 한올바이오파마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3~4월 제약사 이모저모]갈더마, 동화약품, 셀트리온, 한소제약, 현대ADM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4월 제약사 이모저모]셀트리온, 한미약품, 한국MSD, GC녹십자 등 소식
위드헬스케어
한국화이자제약
GSK2022
한국얀센
한국MSD 202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