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5년간 식품 알레르기 사고 접수는 총 2,159건으로 매년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는 가운데 ‘식품 아나필락시스’로 인한 어린이 진료율이 2.7배 급증한 것으로 조사됐다.
인재근 의원(서울 도봉갑, 보건복지위원회, 더불어민주당)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2년부터 2016년까지 ‘음식의 유해작용으로 인한 아나필락시스 쇼크’로 진료를 받은 인원은 약 4,800명으로, 매년 약 1,000명의 환자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0~9세의 어린이는 약 15.7%로 지난 5년간 약 2.7배 이상 증가했으며 10~19세 청소년 또한 같은 기간 약 1.4배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70대를 제외한 전 연령층에서 식품 아나필락시스 진료 환자 수가 감소하는 추세를 보인 것과 대조적이다.
인재근 의원은 “아나필락시스는 사례는 적지만 짧은 순간에 생명을 위협하는 치명적인 증상이다. 최근 어린이와 청소년의 식품 아나필락시스 진료율이 급증하고 있는 만큼 당사자는 물론 보호자의 각별한 주의와 지도가 필요하다”며, “식품 아나필락시스 문제는 일반적인 먹거리로 인해 일부 국민의 생명이 위협받는 특수한 사례인 만큼, ‘식품안전’의 주무부처인 식약처가 팔을 걷어붙이고 나서야 한다. 소비자원 등 관련기관과 개별 학교, 어린이집 등의 데이터를 취합하여 관리하고, 사례 발생 시 원인에 대해 철저하게 조사 및 추적하는 등 만전을 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지난해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식품 알레르기 사고 건수는 599건으로 4년 전인 2013년의 316건에 비해 약 2배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식품 알레르기 사고는 올해 상반기까지만 412건이 접수되는 등 매년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연령별로는 만 10세 미만이 554건으로 전체의 약 25.7%를 차지했으며 이어 50대가 309건(14.3%), 30대 294건(13.6%), 40대 272건(12.6%), 20대 228건(10.6%) 순이었다. 성별로는 여성이 1,175건으로 남성(969건) 보다 높게 나타났다.
품목별로는 외식 등을 포함한 ‘가공식품’이 980건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축산·수산물 식품’이 265건, 채소·과일 등의 ‘식물식품’이 185건으로 나타났다.
세부유형별로는 ‘외식’이 321건으로 가장 많았고, ‘수산물 및 수산물 가공식품’ 250건, ‘건강식품’ 209건, ‘축산물 및 축산물 가공식품’ 87건, ‘빵(떡) 및 과자류’ 92건, ‘채소’ 60건, ‘유가공품’ 59건 등의 순이었다.
증상별로는 두드러기, 홍반, 습진 및 발진 등 피부질환이 대부분을 차지했다. (*2015~2017.06. 통계로, 2014년 CISS 시스템 개편 이후 적용된 신코드 데이터만 집계)
또 인재근 의원이 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 식약처)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5년간 식품 내 알레르기 유발성분 표시위반으로 적발된 제품은 총 24건으로 이 중 단 1건만 회수조치에 들어간 것으로 나타났다.
식약처는 2015년 1월부터 개정된 ‘위해식품 회수지침’에 따라 알레르기 유발성분 미표시 제품에 대해 회수조치를 실시하고 있지만 해당시점 이후 적발된 11건 중, 6건은 당일 전량 소진되었거나 유통 전 단계에서 적발됐고, 4건은 원재료 표시위반 사례로 회수대상에 해당하지 않았던 것으로 확인됐다.
식품으로 인한 알레르기성 쇼크 ‘아나필락시스’증상의 한국소비자원(CISS) 신고는 같은 기간 총 22건으로 집계됐다.
연령별로는 만 10세 미만, 10대를 포함하는 미성년자가 총 7명으로 전체의 약 3분의 1을 차지했고, 성별로는 남성이 13명, 여성이 9명으로 집계됐다.
반면 식약처가 인재근 의원에게 제출한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부정불량식품신고센터(1399)에 접수된 식품 아나필락시스 사례는 단 1건에 불과했던 것으로 확인됐다.
- 관련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