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아스피린 복용 노인 총 사망률, 비(非)복용 노인 2배 - 동탄성심병원 윤종률 교수팀, 노인 14만5000여명 5년 병력 자료 분석결과
  • 기사등록 2017-09-01 10:36:23
  • 수정 2017-09-01 10:37:32
기사수정

심장병·뇌졸중 등의 예방을 위해 아스피린을 매일 꾸준히 복용한 노인의 사망률이 아스피린을 먹지 않은 노인보다 오히려 2배까지 높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노인의 아스피린 복용 기간이 길수록 사망률이 더 높았다.

한림대 동탄성심병원 가정의학과 윤종률 교수팀이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제공받은 60세 이상 노인 코호트 자료를 이용해 5년간(2003∼2007) 고혈압·당뇨병·이상지질혈증 중 최소 한 가지 이상 보유한 14만5,769명의 아스피린 복용 여부와 사망률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5년간 아스피린을 전혀 복용하지 않은 노인은 13만3046명, 1년 이하 복용은 1만21명, 1∼3년 복용은 2588명, 3∼5년 복용은 114명이었다.

아스피린을 복용하지 않은 노인의 총 사망률은 9.8%였다. 아스피린을 1년 이하 복용한 노인의 총 사망률은 16.0%로, 아스피린을 복용하지 않는 노인의 1.5배였다.

1∼3년 복용한 노인의 총 사망률은 17.7%(1.6배), 3∼5년 복용한 노인의 총 사망률은 18.4%(2배)였다. 아스피린 복용 기간이 길수록 사망률도 함께 증가한 것이다.

심혈관·뇌혈관 질환에 의한 사망률도 아스피린 복용 노인이 비(非)복용 노인보다 높았다. 대장암에 의한 사망률은 아스피린 복용과 비복용 노인에서 엇비슷했다.

심뇌혈관 질환과 암에 의한 사망을 제외한 다른 원인에 의한 사망률도 아스피린 복용 노인에서 더 높았다.

1897년 독일의 화학자 펠릭스 호프만이 개발한 아스피린은 진통소염제·항(抗)혈소판제제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피를 묽게 하는 효과가 밝혀진 것은 약 30년 전이다. 그 후 많은 사람이 심뇌혈관 질환 예방을 위해 아스피린을 매일 꾸준히 복용하고 있지만 심뇌혈관 질환 병력이 없는 건강한 사람에게도 예방 효과를 나타내는지에 대해선 의견이 갈려 있다.

윤 교수팀은 논문에서 “아스피린 복용 노인의 사망률이 더 높게 나온 것은 이들에게 확인되지 않은 심혈관 질환 위험요소가 더 많았을 가능성 때문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개인 당 3가지 질병까지만 확인되는 건강보험공단 자료의 기본적 제한점 때문에 아스피린 복용 노인에서 파악되지 않은 다양한 질환이나 심혈관 질환 위험요소가 더 많아 이런 요소들로 인해 사망률이 증가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윤 교수팀은 논문에서 “아스피린에 의해 치명적인 출혈이 증가했을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아스피린을 복용한 노인에게 뇌출혈·위장관 출혈 등이 생겨, 이들의 사망률이 높아졌을 수 있다는 것이다.

윤 교수팀은 논문에서 “아스피린을 복용한 노인의 총 사망률, 심혈관 질환·뇌혈관 질환 사망률이 줄지 않고 오히려 더 높아졌다”며, “아스피린의 이득보다 위험이 더 클 수 있으므로 신중한 약물 사용이 요망되며, 앞으로 추가 연구가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대한가정의학회지 최근호에 ‘한국 노인에서 아스피린의 일차예방효과: 아스피린 복용에 따른 사망률 분석 결과’라는 내용으로 발표됐으며,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이 소개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04229783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한국인 수면 시간, OECD 평균보다 18% 부족…“남성 수면 부족, 여성 수면 장애 호소”
  •  기사 이미지 대한가정의학과의사회, 실손보험 개편·비급여 규제에 강력 반발
  •  기사 이미지 2025 대한혈액학회 국제학술대회…30여 개국 전문가 1천명 참석 예정
대한골대사학회
대한두경부외과학회
위드헬스케어
캐논메디칼
올림푸스한국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