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대장암검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개선방향이 제시돼 눈길을 모았다.
연세대 원주의대 김현수 교수는 7일 국회의원회관 제4간담회의실에서 더불어민주당 권미혁 의원과 대한장연구학회가 개최한 ‘국가 대장암검진 개선을 위한 정책 토론회’에서 ‘질 관리를 통한 국가 대장안검진 성과개선 방안’이라는 주제발표를 통해 이같은 안을 제시했다.
김현수 교수는 우선 낮은 1, 2차 수검률을 문제로 분석했다.
수검률을 향상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분변키트 우편발송과 회수 ▲키트 보장금 선불로 검체 회수율 향상 ▲수검자 편의 중심으로 변화(주말, 야간 당번제 활용, In-reach 개념 hospital care 도입) ▲1차 분변잠혈 및 2차 내시경/ 조영술 검사기관 이원화(접근도 향상 및 2차 검진 전문화 유도) ▲1차/ 2차 상담수가 책정 및 동시 시행시 가산 등을 제시했다.
검진 후 감시체계 구축방안으로는 ▲대장내시경 결과 관리를 위한 중앙DB구축 (이상 없는 경우 5년 대변겸사 유예, 비용절감(10억원/10만명/년) ▲대장내시경의 TUR(test utilization review)체계 구축(재검사시에 시행 이유를 체크하도록 해서 과잉검사를 억제) ▲대장암 개별위험도 평가로 검진 우선순위 ▲대장내시경 확진 결과를 입력해야 청구 가능하도록 인센티브 연동 등이 제시됐다.
분변검사 질 성과개선방안으로는 ▲표준화, 자동화된 정량검사로 일원화 ▲분변정량검사 제품별 역치 산정(회사별 근거제시 의무화, 국내 검진 자료 분석 필요) 등이 제안됐다.
대장내시경 질관리를 통한 성과개선 방안으로는 ▲대장내시경 질관리 및 암검진 성과 지표 선정(10개 내외) ▲국가 대장암 검진 웹기반 중앙DB 구축(암검진 성과와 질지표가 동시에 산출가능하게 보고양식 개선, 질 및 성과지표 상시 공개로 자율적 질 향상 유도, 대장암 위험도에 기반한 맞춤형 관리, 모니터링과 오딧 체계 도입으로 자료 검증 및 인증을 억제, 추적 내시경 간격 준수 여부) 등이 제시됐다.
대장암 정책개선 제언으로 ▲사령탑으로 정부, 국민, 의료계 상설협의체 구성(정기적인 질관리 교육과 수련 총괄, 건강검진기본법 및 하위법령 개정, 암검진 질지표 및 성과지표 개발, 심의, 평가 수행 법제화) ▲검진 효율화 방안을 위한 공익연구 활성화(암검진 등록, 사망원인 자료 연계, 공익목적의 연구시 개인정보법 유예 조항을 암검진법이나 국민건강검진기본법에 반영 검토)를 제안했다.
김 교수는 대장내시경 검사의 질이 중요한 이유에 대해 ▲대장암 발생 및 사망억제 ▲위험대비 이득극대화 ▲비용감소 등을 제시했다.
한편 서울대의대 김윤 교수는 “우선 대장암 검진의 정확도를 높이는 노력이 필요하고, 환자들의 편의성도 같이 고려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통한 근거를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이를 위해 현재 관련 데이터를 모으고, 필요하다면 일부지역을 상대로 시범사업을 고려하는 것도 필요해 보인다”고 덧붙였다.
이외에도 검사결과를 환자들이 쉽게 알 수 있도록 하는 노력과 함께 검진과 관련한 기관간의 유기적인 연계를 위한 복지부의 노력이 필수적이라는 의견도 제시했다.
- 관련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