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역항암제 신속한 급여에 대해 전문가 및 정부의 의견이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7일 약 180명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된 대한암학회(이사장 김열홍) 제 42차 학술대회 및 국제암컨퍼런스 ‘면역항암제의 국내 도입과 과제’라는 주제의 특별세션에서 이같은 내용이 제시됐다.
좌장을 맡은 국립암센터 김흥태 교수는 “지난 4월 2개 면역항암제가 식약처 허가를 받아 국내에서도 처방할 수 있게 되었지만, 고가의 약물로 환자와 정부 모두에게 재정부담이 가장 큰 걸림돌이다. 이에 환자, 전문가, 정부, 언론사 등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여 면역항암제에 대한 신속한 보험급여의 도입을 논의하기 위해 특별세션이 마련되었다”고 밝혔다.
1부 주제발표는 첫 번째, 서울아산병원 이대호 교수가 ‘암 치료 패러다임 변화의 중심, 면역항암제’라는 제목으로 발표했다.
두 번째는 환자가족이 ‘면역항암제로 인한 삶의 변화’라는 제목으로 발표해 면역항암제 투여 환자의 생생한 수기가 이어졌으며, 마지막으로 보건복지부 보험약제과 고형우 과장이 ‘암 보장성 강화를 위한 정부의 성과’에 대해 발표를 관심을 모았다.
이대호 교수는 “면역항암제는 일부 환자에서 완치를 치료목표로 할 수 있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치료제이다”며 “치료제의 보험급여는 비용효과 및 재정영향 등으로 현실적인 제약이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시급한 결정을 미룰 수 없기 때문에 우선적으로 급여가 필요한 환자에게 급여 적용을 하는 단계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절망의 끝자락에서 잡은 면역항암제’라는 주제로 아버지의 투병 사례를 소개한 최효심씨는 “4기 폐암으로 고통 받던 71세의 아버지가 면역항암제 치료 시작 이후 섬에서 배타고 KTX 타고 서울에 와서 치료를 받으러 올 수 있는 정도가 됐다”며 “하루 한 시간 일분 일초라도 빨리 면역항암제에 대해 건강보험적용이 돼서 많은 환자들이 비용 걱정 없이 치료받을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2부는 지정토론 발표 이후 전체 토론이 이어졌다. 고려대학교 김열홍 교수, 성균관대학교 이의경 교수,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조정숙 약제관리실 실장, 조선일보 김철중 의학전문기자가 패널로 참석하여 현실적인 면역항암제 급여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면역항암제 보험급여를 어떻게 하면 될까요”라는 좌장의 공통 질문에 대해 김열홍 교수는 “혁신 신약 급여평가 시에 기존의 치료방법으로 치료했을 때 발생하는 재발 및 부작용 관리를 위한 의료비 지출도 경제성 평가에 포함돼야 하지만 현재 제도 하에서는 그렇지 못하다”며 “대체 약제와 비교 시 다양한 평가 요소가 반영될 수 있도록 새로운 경제성 평가 틀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이의경 교수는 “면역항암제의 급여방법은 위험분담제가 가장 적절하며, 경제성평가를 탄력적으로 적용할 필요가 있다”며 “일반적으로 환자들은 ‘완치’가 가능한 치료에 대해서는 사회적 지불의사가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에 면역항암제에 대한 논의에서 환자가 중심이 되어야 한다”고 밝혔다.
김철중 기자는 “면역항암제에 대한 사회적 요구도가 매우 높아 보험급여는 적은 범위라도 빠르게 시작해 단계적으로 확대해 나가는 ‘Start Small, Move Fast’ 의 선제적 대응전략이 필요하다”며, 이를 주도할 협의체 필요성을 강조했다.
고형우 과장은 “경제성평가면제 원칙을 가지고 있는 현재의 시스템을 이용해서도 가능할 수 있다”며, “급여기준확대를 추진하여 위험분담제를 탄력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조정숙 실장은 “관련학회의 의견을 수렴해서 보험급여를 적극적으로 검토하겠다. 위험분담제로 급여에 들어오는 것이 우선일 것으로 보이며, 협의체구성을 통해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전체 토론 및 질의응답 시간에서 면역항암제의 빠른 급여 적용과 대책 마련을 위한 여러 분야의 전문가들의 특별 위원회를 구성하자는 의견이 많은 공감을 얻었다.
아울러 면역항암제의 전신적 면역 부작용에 대한 적절한 대처가 가능한 다학제 진료 시스템이 구축된 의료기관으로 급여 범위를 제한하자는 의견도 제시됐다.
김흥태 교수는 “정부도 보장성 강화정책에 따라서 고가항암제에 대한 접근성 확대를 위해 다양한 노력들을 하는 것을 알게 되었다. 면역항암제에 대한 신속한 급여를 위해서는 위험분담제가 가장 바람직하다. 많은 환자들에게 조금이라도 더 빨리 치료희망을 전할 수 있도록 위험분담제를 탄력적으로 운영해야 하고, 선제적 대응전략을 위한 협의체 구성이 필요하다는 데에 의견이 일치됐다”고 결론 내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