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롯데제과, 껌·초콜릿 가격 인하, 비스킷류 가격 인상 - 껌, 초콜릿 등 8종 10.5% 인하, 비스킷 및 일부 빙과 제품 8종 8.4% 인상
  • 기사등록 2016-03-04 18:45:19
  • 수정 2016-03-04 18:45:57
기사수정

롯데제과(대표 김용수)가 일부 제품의 가격 변경을 하기로 했다.

지난해 ‘자일리톨껌(리필)’과 ‘초코파이’를 가격 변동 없이 증량한 데 이어 ‘롯데자일리톨껌’ 용기제품도 가격 변동 없이 양을 늘리고, ‘가나파이’와 ‘청포도 캔디’도 증량한다.

또 ‘가나 프리미엄’은 가격을 인하한다.

롯데제과는 초코파이를 개당 35g에서 39g으로 늘리고, 자일리톨껌(리필)은 97g에서 108g으로 늘리는 등 g당 가격을 각각 10.3%, 10.1% 인하한 바 있다.

이어 ‘가나 프리미엄’은 중량을 90g으로 유지하고 가격은 3,000원에서 2,500원으로 16.5% 인하한다.

자일리톨껌(용기5,000원)은 오리지널, 핑크민트, 아이스민트 3종 모두 87g에서 91g으로 늘리고, 가나파이(5,400원)는 384g에서 420g으로 늘린다. 청포도 캔디(2,000원)는 119g에서 127g으로 중량을 늘린다.

이들 제품은 가격을 기존 그대로 유지하여 g당 가격 인하율은 자일리톨껌 용기 4.5%, 가나파이 8.5%, 청포도 캔디 6.5%이다.

마가렛트는 씹는 맛을 좋게 하는 등 품질 개선을 위해 개당 중량을 9.5g 에서 11g으로 늘려 크기를 키우고, 가격을 4,000원에서 4,400원으로 변경해 g당 단가를 5% 인하한다.

팜온더로드 아몬드머랭도 가격을 5,000원에서 4,300원, 중량을 84g에서 78g으로 낮춰 g당 단가를 7.4% 인하하기로 했다.

이번 가격 변경에는 수익성 악화로 불가피하게 인상하는 제품도 있다.

롯데샌드, 빠다코코낫, 제크, 하비스트, 야채레시피 5종은 2011년 이후 5년간 가격 동결로 인하여 원가 압박을 받아온 제품들이다. 파이류인 갸또와 빙과류인 월드콘, 설레임도 원가압박을 못 이겨 왔다.

비스킷 5종은 권장소비자가격을 1,200원에서 1,400원으로, 파이류인 갸또는 3,200원에서 3,600원으로, 월드콘과 설레임은 1,200원에서 1,300원으로 각각 인상할 예정이다. 

이들 제품은 유통 환경 악화로 납품가가 계속 하락해 수익성이 나빠졌다. 여기에 밀가루 등은 국제 원자재 가격이 안정화 추세를 보였지만 유지(2.2%), 전란액(4.5%), 포장재 필름(17.4%), 케이스(10.7%) 등 주요 원부재료비가 2011년에 비해 크게 올라 인상이 불가피했다.

이들 제품의 g당 가격인상률은 롯데샌드 11.1%, 하비스트 2.7%, 야채레시피 5.4%, 제크와 빠다코코낫 16.7%, 갸또 12.5%, 월드콘과 설레임 각각 2%이다. 
8종의 평균 인상률은 8.4%이다.

이들 제품은 가격 인상과 함께 중량과 품질도 업그레이드하여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이고자 했다. 롯데샌드는 중량을100g에서 105g으로 늘리고, 크림 함량을 20% 더 늘렸다.

오리지널의 경우 파인애플 분말도 10% 증량해 상큼함을 풍부하게 느낄 수 있다. 롯데샌드 깜뜨는 코코아매스 함량을 10% 더 늘렸다.

하비스트는 중량을88g에서 100g으로 늘리고, 검은콩 분말 19%, 코코낫 분말 17%를 더 높여 진하고 고소한 맛이 좋게 하였다. 야채레시피는 중량을75g에서 83g으로 늘리고, 여덟 가지 야채에 감자분말과 천일염을 추가, 야채본연의 맛을 높였다.

갸또는 풍미를 개선해 정통 케이크의 식감을 살리고 맛을 높였다. 월드콘과 설레임은 용량을 각각 10ml 늘렸다.

가격 변경 제품은 점포별로 재고 상태를 고려하여 순차적으로 공급된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457084691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7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 비보존, 한국다이이찌산쿄, 한미약품, GC녹십자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7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 비보존, 신신, 셀트리온, 한국아스트라제네카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7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ST, 머크, 알피바이오, 지씨셀, 큐라클 등 소식
위드헬스케어
한국화이자제약
GSK2022
한국얀센
한국MSD 202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