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자도 아침에 개운하지 못하면 당뇨병 위험 3배 - 서울아산병원 김영식 교수팀, 2년6개월간 추적조사 결과
  • 기사등록 2016-02-01 15:44:43
  • 수정 2016-02-01 15:44:51
기사수정

수면의 질이 낮은 사람은 높은 사람보다 제 2형(성인형) 당뇨병에 걸릴 위험이 3배 가까이 높아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1일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에 따르면 서울아산병원 가정의학과 김영식 교수팀이 자신의 만성질환 진료를 위해 병원을 찾았지만 당뇨병은 없는 성인(40∼75세) 563명을 대상으로 2년6개월 동안 수면의 질과 당뇨병 유병률의 관계를 추적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이번 연구결과는 ‘대한의학회지’지 최근호에 소개됐다. 

연구 도중 563명 가운데 29명(5.2%)이 당뇨병(공복 혈당 126㎎/㎗ 이상 또는 당화혈색소 6.5% 이상)으로 진단됐다.

수면의 질이 높은 사람의 당뇨병 유병률을 1로 잡았을 때, 수면의 질이 낮은 사람은 2.6이었다. 이는 밤에 푹 자지 못하는 사람은 잘 자는 사람에 비해 당뇨병 발생 위험이 2.6배 높다는 뜻이다.

김 교수팀은 연구 대상자의 수면의 질을 측정하기 위해 ‘피츠버그 수면 질 지수’(PSQI)를 사용했다.

PSQI는 입면(入眠)시간·수면시간 등 각자의 평소 수면 습관을 점수화한 지수로 5점 이상이면 ‘질 낮은 수면’, 5점 미만이면 ‘질 높은 수면’ 상태다.

김 교수팀은 논문에서 수면의 질이 낮으면 당뇨병 위험이 높아지는 것은 “밤에 숙면을 취하지 못하면 체내 당(糖)대사가 교란되고 인슐린(혈당을 낮추는 호르몬)은 물론 렙틴(식욕억제호르몬)의 분비가 감소하는 것과 연관이 있을 것”으로 추정했다. 

숙면을 취하지 못하면 렙틴 분비 감소로 식욕이 늘어나는 반면, 신체활동은 줄어들어 체중이 늘어나게 되며, 체중 증가는 당뇨병의 주요 위험요인이란 것이다. 

이번 연구에서도 BMI(체질량지수)와 복부비만이 높을수록 당뇨병 위험은 약 1.2배, 4.4배 높아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수면 시간이 5시간 이하로 짧아도 당뇨병 유병률을 특별히 높이지 않았다. 이는 당뇨병 위험을 높이는 것은 수면 시간이 아니라 수면의 질임을 시사하는 결과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454295051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PLUVICTO vs. 중입자치료’ 등 첨단 암 치료법…장단점 및 해법은?
  •  기사 이미지 대한수혈학회 44차 학술대회, 헌혈제한 완화 및 첨단 세포치료 논의
  •  기사 이미지 대한두통학회, 국제 가이드라인 기반 맞춤형 두통 치료법 공유
대한골대사학회
대한두경부외과학회
위드헬스케어
캐논메디칼
올림푸스한국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