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바이오산업 시장은 2009년 6조 9,654억 4,400만원에서 연평균 6.71% 성장률을 보이며, 2013년 9조 332억 8,800만원을 기록했으며, 2013년에도 전년대비 7.10% 증가했다.
2013년 바이오산업 국내 판매는 전년대비 7.10% 증가한 4조 3,574억원을 기록했으며, 수출도 전년대비 3.46% 증가한 3조 1,664억원으로 나타났다. 반면, 수입은 전년대비 4.15% 감소한 1조 5,095억원을 기록했다.
한국산업마케팅연구소가 최근 발간한 ‘2015 바이오산업 분야별 시장동향과 유망기술 개발전략’ 보고서에 따르면 향후 바이오산업은 2015년 11조 3,328억원을 기록하며 2013년 대비 25.46% 확대될 전망이다.
특히 2013년 대비 바이오식품이 1조 8,757억원이 증가하여 가장 크게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며, 바이오에너지 및 자원(1조 2,840억원 증가), 바이오의약(7,703억원 증가), 바이오전자(985억원 증가), 바이오화학(448억원 증가) 순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바이오공정 및 기기는 1,682억원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며, 바이오환경과 바이오검정, 정보개발서비스 및 연구개발도 각각 1,009억원과 134억원 감소가 예상된다.
세부 분야로는 사료첨가제와 바이오연료, 기타 바이오의약품, 건강기능식품, 식품첨가물, 바이오화장품/생활화학제품, 항암제, 호르몬제, 면역제제, 인공종자 및 묘목 등 10개 분야가 시장을 선도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 백신과 혈액제제는 상대적으로 성장세는 둔화되었지만 시장의 Cash Cows 역할이 기대된다.
2012년, 2013년에 이어 2015년에도 발간된 보고서에는 바이오산업의 세부 51개 시장이 종합 분석되어 있으며, 향후 유망 바이오 시장이 선정되어 있다.
또 유망 바이오 시장 및 기술개발 동향과 주요 참여 기업의 일반 현황 및 영업실적이 정리되어 있으며, 부록으로 유망 바이오기술 개발현황이 수록되어 있다.
따라서 바이오산업과 유망 바이오 시장 참여 및 신규사업을 계획하는 업계와 연구 및 정책기관의 시장이해와 마케팅, 경영전략 수립 등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한국산업마케팅연구소는 21세기 지식기반 경제 시대의 산업정보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설립된 산업마케팅 전문 연구소이다.
- 관련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