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금연치료 25일부터 지원…현장 시스템 문제‘불만’ - 전국 14,000개 병의원에서 금연치료 가능
  • 기사등록 2015-02-26 11:03:19
  • 수정 2015-02-26 11:04:57
기사수정

보건복지부(장관 문형표)가 지난 25일부터 전국 1만4000여개 병의원에서 건강보험에서 지원하는 금연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해 웃을 수 있었지만 막상 현장에서는 시스템 문제로 불만이 더 컸던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병의원의 22% 이상 등록  
복지부에 따르면 1월 26일부터 2월 23일까지 국민건강보험공단에 금연치료 의료기관으로 등록을 신청한 기관은 14,237개소로 전체 병의원의 22.3%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의원이 7,342개소(25.4%)로 가장 높았으며, 진료과목별로는 내과(57.9%), 가정의학과(44.0%) 등의 참여율이 평균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시군구별 평균 62개 기관이 신청했고, 서울, 대구, 광주 등 도시지역이 참여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복지부는 금연치료 등록신청은 지원사업이 시작된 이후에도 언제든지 가능하므로 향후 참여 의료기관이 더욱 늘어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금연치료를 희망하는 흡연자는 의료기관을 방문하기 전 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www.nhis.or.kr) 또는 보건복지부 홈페이지(www.mw.go.kr)를 통해 등록 의료기관인지 확인을 하는 것이 좋으며, 건보공단 대표전화(1577-1000)를 통해서도 손쉽게 가까운 의료기관을 확인할 수 있다.

이들 병의원에 등록해 치료를 받을 경우 12주 동안 6회 이내의 상담과 금연치료의약품 또는 금연보조제 투약비용의 일부를 지원받을 수 있다.

(표)프로그램 개요
6-1.jpg


복지부 관계자는 “지속적인 의료기관의 참여 유도와 함께 양질의 금연상담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관련단체와 협의하여 의료인 교육을 3월부터 추진하고, 체계적인 금연치료 상담 및 처방을 위한 지침서를 각 의료기관에 배포하여 현재 활용 중에 있으며, 많은 흡연자의 금연치료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참여방법, 사업 내용 등에 대한 홍보를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또 저소득층의 금연치료비 부담완화를 통해 금연을 유도하기 위해 건강보험료 하위 20%이하의 저소득층의 금연치료 본인부담금과 의료수급대상자에 대한 진료 및 치료비는 건강보험 금연치료 프로그램에서 정한 총비용 수준에서 전액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저소득층 해당 여부 등 동 사업 추진 관련 주요 문의 사항은 건강보험공단 콜센터(1577-1000)로 문의 가능하다.

(표)병‧의원 등 본인부담 및 전문의약품 등 지원 상한액
6-2.jpg

◆개원가 곳곳서 장애발생…환자들 불편 초래 
하지만 복지부와 건보공단이 협약을 체결하여 모든 지원절차가 별도의 전산시스템으로 처리되기 때문에 개원가에서는 이 시스템 등록이 필수다.

문제는 개원가에서는 곳곳에서 시스템 장애가 발생해 환자들의 불편과 불만이 제기됐다.

실제 일부 개원가에서는 금연치료환자 한명 진료에 약 1~2시간이 소요되면서 의사, 환자는 물론 다른 질환 진료를 위해 찾은 환자들에게도 불편과 피해도 준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개원가에서는 첫날이기 때문에 생긴 문제점이라고 생각하고 있지만 시스템이 하루아침에 바뀔 수 있을지는 의문이라는 지적도 있다.

특히 약국에서 당일 약을 받지 못하고 다음날로 넘기는 경우도 많았다.

이에 대해 한 환자는 “치료 상담 및 처방까지 약 1시간이나 걸린 것 같다”며 “큰 병도 아닌데 이렇게 많은 시간을 내야하고, 약국에 갔더니 내일 오라고 한다. 속이 터진다”고 지적했다.

또 “정부는 무조건 던져 놓으면 다되는 것으로 착각하는 경우가 많은 것 같다”며 “탁상행정의 대표적인 전형인 것 같다”고 덧붙였다.

한 개원가 의사는 “이번 정책은 의사나 환자에게 너무 많은 기다림을 요구하는 것 같다”며 “이로 인해 다른 환자에게 까지 피해를 주게 되 미안한 상황이다”고 밝혔다.

한편 건보공단 홈페이지에서 등록 병의원 검색, 시도별 금연치료 지원사업 참여의료기관 현황, 의료기관(의원) 진료과목별 참여신청 현황 등은 (http://www.medicalworldnews.co.kr/bbs/board.php?bo_table=pds&wr_id=1914&page=0&sca=&sfl=&stx=&sst=&sod=&spt=0&page=0)를 참고하면 된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424916100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6월 25일 병원계 이모저모①]강남차, 분당서울대, 순천향대천안, 한림대성심, 서울대치과병원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6월 24일 병원계 이모저모②]고려대구로, 일산백, 전북대, 제주한국병원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6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제약, 신풍제약, 한국로슈, 테라펙스, BMS 등 소식
건국대학교병원
대구가톨릭대학교병원
대전선병원
병원간호사회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