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길리어드-㈜유한양행, 단일정복합 HIV 치료제 ‘스트리빌드’ 출시 - 전략적 제휴
  • 기사등록 2014-03-04 17:39:19
  • 수정 2014-03-04 21:56:44
기사수정

길리어드 사이언스 코리아(대표 이승우)와 ㈜유한양행(대표 김윤섭)이 전략적 제휴를 통해 HIV 치료제 스트리빌드(Stribild)를 출시한다.

이와 관련해 지난 3일 유한양행 본사에서 제품 출시일자에 맞춰 출시 기념식을 가졌다.

‘스트리빌드’는 HIV 치료제 필요한 성분을 하나의 정제에 담아, 하루 한 알(1일 1회 1정) 복용하는 국내 최초의 단일정 복합제로 3월 국내 출시됐다.
 
4-12.jpg

양 사는 만성B형 간염치료제 ‘비리어드’, HIV 치료제 ‘트루바다’ 등에 이어, 스트리빌드 역시 전략적 제휴를 통해 또 한번 성공을 이끌어간다는 계획이다.

이날 기념식에서 ㈜유한양행 김윤섭 대표는 “유한양행과 길리어드는 전략적 파트너십을 통해 우리나라 환자들에게 꼭 필요한 혁신적인 신약을 계속 도입해오고 있어 기쁘다”며 “선도적인 제약기업으로서 유한양행은 스트리빌드의 성공을 위해 강력한 영업 및 마케팅 역량을 더욱 발휘할 것이다”고 말했다.

이에 길리어드 사이언스 코리아 이승우 대표는 “양 사는 탄탄한 협력을 바탕으로 비리어드의 성공을 이끌어온 바 있다”며 “국내 최초의 단일정 복합제 ‘스트리빌드’ 역시 양 사가 힘을 합쳐 국내 HIV 환자들의 더 나은 삶에 기여하고, 사회적 의료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다”고 소감을 밝혔다.

3월 새롭게 출시된 스트리빌드는 세계 최초로 통합효소 억제제를 포함한 4가지 약물(엘비테그라비르 150mg, 코비시스타트 150mg, 엠트리시타빈 200mg 및 테노포비르디소프록실푸마레이트 300mg)을 단일정화한 4제 복합 HIV 치료제다.

스트리빌드의 효능 및 안전성은 치료 경험이 없는 HIV-1 감염 환자 1,4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건의 3상 임상연구(102, 103 연구)에 기반한다.

102 연구에서는 치료 144주 시점에 스트리빌드 복용 환자의 80%(n=279/348), 대조군인 에파비렌즈·엠트리시타빈·테노포비르 복합제 복용 환자의 75%(n=265/352)가 HIV 바이러스 억제효과(HIV-1 RNA<50 copies/mL)를 달성했다.

또 스트리빌드 복용 환자는 대조군에 비해 신경정신성 부작용 발생률이 상대적으로 낮았는데, 신경정신성 부작용에는 악몽(스트리빌드 16%, 대조군 29%), 어지러움(스트리빌드 8%, 대조군 26%), 불면증(스트리빌드 12%, 대조군 17%)과 같은 증상이 포함된다.

실험실적 결과의 이상 빈도는 모든 치료법에서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스트리빌드 복용 환자는 대조군 복용 환자에 비해 총 콜레스테롤 및 LDL(저밀도지단백질 또는 나쁜 콜레스테롤)의 증가가 유의하게 낮았다.

또 103 연구에서도 치료 144주 시점에 스트리빌드 복용 환자의 78%(n=274/353), 리토나비르 보강 아타자나비르 및 트루바다를 복용한 환자의 75%(n=265/355)가 HIV 바이러스 억제효과를 달성한 바 있다(HIV-1 RNA<50 copies/mL).

스트리빌드는 항레트로바이러스 치료 경험이 없는 성인의 HIV-1 감염 치료에 대한 효능효과로 2013년 3월 국내 허가를 받은 바 있다. 현재 미국, EU를 비롯해 캐나다, 호주, 터키, 일본에서 HIV 치료제로 허가 및 시판되고 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393922206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7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 비보존, 한국다이이찌산쿄, 한미약품, GC녹십자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7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 비보존, 신신, 셀트리온, 한국아스트라제네카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7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ST, 머크, 알피바이오, 지씨셀, 큐라클 등 소식
위드헬스케어
한국화이자제약
GSK2022
한국얀센
한국MSD 202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