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초화장품 여성이 1개더 사용…구매자 70% 이상반응 우려 - 식약처, 국내 소비자 화장품 인식도 조사 결과 발표
  • 기사등록 2013-04-17 17:46:09
  • 수정 2013-04-17 17:49:41
기사수정

기초화장품은 여성이 남성보다 평균적으로 1개를 더 사용하고, 화장품 구매시 10명 중 7명 이상은 이상반응을 가장 우려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정승)가 화장품에 대한 국내 소비자의 인식도 조사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안전하고 올바른 화장품 사용을 위한 소비자 인식도 연구를 위해 지난해 전국 15세 이상 1,498명(여성: 1,000명, 남성: 498명)을 대상으로 ‘녹색소비자연대’와 공동으로 진행됐다.

주요 조사항목은 ▲화장품 사용 현황 ▲구매 시 우려사항 ▲구매패턴 및 표시사항 확인 조사 ▲화장품 교육 요구도 등이다.

◆기초화장품 여성 3.2개, 남성 2.3개 사용
이번 조사결과 여성 70%와 남성의 10%는 색조화장을 하며 여성 중 약 10%는 10대부터 색조화장을 시작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스킨, 로션, 세럼과 같은 기초화장품은 여성은 평균 3.2개, 남성은 2.3개를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외선차단제 등 기능성화장품 경우에는 여성 83%, 남성 56%가 사용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구매자 70%이상, 이상반응발생 우려
화장품 구매 시 가장 많이 우려하는 사항은(중복응답) 여성, 남성 모두 ▲이상반응 발생(여성 71%, 남성 78%) ▲성분의 안전성(여성 67%, 남성 64%)에 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외에 기능성에 대한 허위·과대광고(여성 66%, 남성 54%), 반품 등 거래와 관련된 소비자 문제(여성 57%, 남성 59%)도 우려를 표시했다.

이상반응이 발생한 경우를 분석해 보면 여성, 남성 모두 ▲가려움(여성 25%, 남성 27%) ▲따가움·화끈거림(여성 25%, 남성 28%)이 많이 발생한 것으로 조사됐다.

기타 이상반응으로 여성의 경우 여드름과 붉은반점(각각 14%)이 많이 생겼고, 남성의 경우는 붉은반점(16%)이 생기는 경우가 많았다.

◆구매 대부분, 전문매장>백화점 순
화장품 구매 장소는 여성의 경우 모든 연령대가 전문매장에서 구매를 많이 하고 남성은 10~20대의 경우 전문매장에서, 30~40대의 경우에는 백화점에서의 구매를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의 경우 ▲전문매장(32%) ▲백화점(24%) ▲원브랜드샵(15%) ▲방문판매(12%)에서 많이 구입한다.

남성의 경우에는 ▲백화점(30%) ▲전문매장(28%) ▲원브랜드샵(18%) ▲대형마트(12%)에서 많이 구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브랜드숍은 전체 상품을 특정 하나의 브랜드군로 구비한 전문점을 말한다.
(표)화장품 구매 장소
7-1.jpg

화장품 구매 시 용기 또는 포장에 기재된 표시사항을 확인하는 소비자는 여성이 35.0%, 남성이 24.5%로 조사됐다.

확인율은 30대와 40대가 34%로 높았고, 50대의 확인율은 23.5%로 10% 정도 낮았다.

표시사항을 확인하지 않는 이유는 ▲이해하기 어렵다 ▲글씨가 작다 ▲시간이 부족하다 ▲브랜드 신뢰라는 의견 순이었다.

식약처는 “이번 조사된 내용을 바탕으로 소비자 눈높이에 맞춘 안전하고 올바른 화장품 사용을 위한 정책 개발 및 홍보·교육을 강화할 예정이다”고 밝혔다.

또 많이 사용하는 원료에 대한 위해평가를 통해 그 결과를 공개하고, 관련 업계, 소비자모임 등이 참여하는 ‘화장품 포럼’을 분기별로 개최해 소비자와의 소통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더불어 안전한 화장품 사용을 위해 소비자 스스로 표시사항 등의 제품정보를 사용 전 꼼꼼히 확인할 것을 권고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366188146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7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 비보존, 한국다이이찌산쿄, 한미약품, GC녹십자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7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 비보존, 신신, 셀트리온, 한국아스트라제네카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7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ST, 머크, 알피바이오, 지씨셀, 큐라클 등 소식
위드헬스케어
한국화이자제약
GSK2022
한국얀센
한국MSD 202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