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김세철 학술상 어떻게 만들어졌나?
  • 기사등록 2013-02-27 19:55:18
기사수정

최근 대한비뇨기과학회에 김세철 학술상이 만들어져 1회 수혜자가 탄생해 눈길을 모았다.

이에 김세철 교수를 만나 학술상 설립의 배경에 대해 들어봤다.

김세철 교수는 “이번 학술상은 절친한 동료의 도움으로 만들어지게 된 것이다”며 “지난 10여년간 사업가 친구로부터 연구비를 지원받아 약 300편 이상의 논문을 발표했는데 이 연구기금을 학회의 학술상 기금으로 사용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그동안 연구기금을 지원해준 친구가 단 한번도 노출하지 않았고, 김 교수도 연구한 논문 결과를 매년 정리해서 이 친구에게 보내줬다는 것.

이번 학술상도 이 친구가 중소기업을 하면서 사세가 확장하면서 마련됐다는 것.

김 교수는 이번 학술상에 대해 “단발성이 아니다”며 “10년 단위로 협약을 하게 되며, 학회와 특별한 사유가 없다면 계속 연장되는 형태다”고 말했다. 

한편 국내에서 의대 비뇨기과 교수가 평생동안 단 1편의 논문이라도 미국비뇨기과학회지에 발표하기 힘들다던 시절에 한국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논문이 최초 등재돼 화제를 모으기도 했다.

김 교수는 “한국 사람이 한국 사람을 대상으로 한 연구를 통해 지난 1989년 미국비뇨기과학회지 9월호 1페이지에 게재됐다”며 “이후 국내 교수들의 SCI 등재가 많아졌다”고 설명했다.

김 교수는 그동안 약 307편의 논문을 썼고, 이 중 약 75편의 논문이 SCI지에 등재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361703267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한국인 수면 시간, OECD 평균보다 18% 부족…“남성 수면 부족, 여성 수면 장애 호소”
  •  기사 이미지 대한가정의학과의사회, 실손보험 개편·비급여 규제에 강력 반발
  •  기사 이미지 2025 대한혈액학회 국제학술대회…30여 개국 전문가 1천명 참석 예정
대한골대사학회
대한두경부외과학회
위드헬스케어
캐논메디칼
올림푸스한국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