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급여 수급자의 암 진단 후 1년 이내 표준화 사망률은 25.97%로 건강보험 직장가입자 최상위 소득계층(14.4%)보다 약 1.8배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병훈 의원(더불어민주당, 경기 광주갑)이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이같이 나타났다.
◆소득 낮을수록 암 발생률·사망률도 높아
2014년부터 2023년까지 10년간 의료급여 및 건강보험 소득수준에 따른 암 발생 및 사망 비교·분석 자료를 분석한 결과, 소득이 낮을수록 암 발생률 대비 조기발견 비율이 낮고 암 진단 후 1년 이내 사망률이 높게 나타났다.
2023년 기준 의료급여의 표준화 암 발생률은 인구 10만명당 472.6명으로 가장 높았다. 이는 지역가입자 424.7명, 직장가입자 440.4명보다 높은 수준이다.
암 진단 후 1년 이내 표준화 사망률은 모든 소득구간에서 의료급여, 지역가입자, 직장가입자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의료급여 25.97%, 지역가입자 12.8%(소득 최상)~23.6%(소득 최하), 직장가입자 14.41%(소득 최상)~17.29%(소득 최하)로 저소득계층일수록 사망률이 높았다.
특히 의료급여층의 사망률은 지역가입자 및 직장가입자 최상위 소득그룹과 비교하면 각각 약 1.8배에서 최대 2배 높았다.
◆저소득층 암검진 수검률 최하위…조기발견 사각지대 심각
▲연평균 표준화 수검률
최근 10년간 암검진 6대 암종별(위·대장·간·폐·유방·자궁경부암) 연평균 표준화 수검률은 공통적으로 의료급여층이 가장 낮고 직장가입자가 가장 높았다.
대장암(24.2%), 폐암(26.6%), 자궁경부암(35.8%) 등에서 의료급여층의 수검률은 직장가입자(약 30~70%) 대비 절반 수준에 불과했다.
위암검진 수검률도 의료급여층이 38.9%로 가장 낮았으며, 직장가입자(약 6065%)에 비해 현저히 낮게 나타났다.
▲암 표준화 발생률
반면 암 표준화 발생률은 2023년 기준 의료급여 및 지역가입자 저소득계층일수록 높게 나타났다.
유방암의 경우 의료급여 및 건강보험 가입자 내 고소득층일수록 다소 높은 발생률을 보였다.
▲간암·폐암 사망률 가장 높아
최근 10년간 간암 진단 후 1년 이내 사망률은 의료급여 39.3%, 지역가입자 29.3~44.2%, 직장가입자 30.6~36.6%로 6대암 중 전체 사망률이 가장 높았다.
폐암의 경우 의료급여 39.7%, 지역가입자 22.0~36.7%, 직장가입자 23.3~28.3%로 나타났다.
모든 암종에서 의료급여층의 사망률이 일관되게 높게 나타났다.
◆“암 통계 통합관리체계 구축 시급”
소 의원은 “의료급여 및 건강보험 가입자, 특히 지역가입자 저소득계층일수록 암 조기검진 접근성이 낮고 진단 초기 사망률이 높게 나타난다”며 “암 환자 생존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특히 의료급여 및 지역가입자 저소득계층의 국가암검진 참여 확대와 조기발견율 제고 정책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각 기관별로 분산된 암 통계를 통합해 정확한 계층별 분석이 가능한 ‘암 통계 통합관리체계’를 구축하고, 이를 토대로 의료급여층·저소득층 맞춤형 암 예방·조기진단 정책을 강화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번 분석은 국민건강보험공단이 2014년부터 2023년까지 암을 처음 진단받고 산정특례를 신청한 내국인 환자 총 212만 7,405명을 대상으로 전체 암 및 6대 암을 각각 분석한 자료다.
한편 ▲암종별 연평균 표준화 수검률(2014~2023년), ▲암 표준화 발생률(2023년 기준), ▲암환자 표준화 사망률(2014~2023년), ▲분석개요 등은 (메디컬월드뉴스 자료실)을 참고하면 된다.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