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검색
비급여의 급여 전환 ‘문케어 이후’ 비급여 더 증가…총 1,144개 급여전환 등재비급여 급여전환 소요 건보재정 5년간 60배 증가 2022-08-01
임재관 newsmedical@daum.net

그동안 비급여의 급여 전환을 해왔지만 오히려 비급여가 늘어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국회 이종성(국민의힘 원내부대표)의원이 보건복지부와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제출받은 비급여 현황 자료에 따르면 보장성 강화 정책으로 지난 6월 기준으로 1,296개의 비급여(기준비급여 152개, 등재비급여 1,144개)를 급여로 전환했다.


문제는 이러한 비급여의 급여 전환에도 비급여가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보장성 강화 시행하기 전 운영되던 3,498개였던 등재비급여(2017년 6월 기준)가 3,705개(2022년 6월)로 문재인 정부의 보장성 강화 정책 발표 이전보다 오히려 더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등재비급여 전환에 따라 소요된 건보재정도 2017년 53억원, 2018년 503억원, 2019년 1,673억원, 2020년 2,536억원, 2021년 3,207억원이며, 5년간 60배나 증가한 것으로 드러났다.


더 큰 문제는 이같은 사후 관리 없는 무분별한 급여화로 인해 국민부담이 낮아지기는 커녕 오히려 늘어나게 됐다는 점이다. 

실제 서울 소재 A산부인과는 2019년 8월 고강도집속술 초음파 진료비를 830만원으로 책정했고, 1년 뒤인 2020년 8월 비급여 였던 초음파의 급여화가 시행됐다. 

그런데 진료비가 835만원으로 늘어났다. 이는 고강도집속초음파술을 710만원에서 785만원으로 올렸기 때문이다. 


즉 병원들은 비급여를 급여화를 하더라도 다른 비급여 의료행위의 금액을 높여 운영하고 있다. 

최근에는 고강도집속초음파술이 1,320만원까지 올라 총진료비가 1,370만원으로 나타나고 있다. 

(표)산부인과 (서울 소재) 고강도 집속술 초음파

이종성 의원은 “모든 의학적 비급여를 급여로 전환하겠다는 문재인 정부의 보장성 강화 정책은 사실상 실패한 것이다”며, “무조건적인 급여전환 보다는 국민들이 꼭 필요로 하는 질환 중심으로 급여전환이 이루어져야 하며, 풍선효과를 대비하기 위해 보험사-심평원 간 실손보험 청구 정보 공유, 급여전환 질환 모니터링 강화 등 사후 대책도 함께 마련되어야 한다”고 밝혔다.


한편 문재인 정부는 국민들의 의료비 부담을 낮추겠다며, 지난 2017년 약 3,600개의 비급여를 급여로 적용할 것을 발표, 추진해왔다. 

[메디컬월드뉴스]

관련기사
TAG

라이프

메뉴 닫기

주소를 선택 후 복사하여 사용하세요.

뒤로가기 새로고침 홈으로가기 링크복사 앞으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