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보건복지부, AI 복지·돌봄 혁신 추진단 출범…단기·중장기 전략 동시 추진 - 내년 상반기 중 ‘AI 복지·돌봄 혁신 로드맵’ 발표 예정
  • 기사등록 2025-08-09 08:00:03
기사수정

보건복지부가 AI 대전환 시대에 맞춰 복지·돌봄 분야의 근본적 혁신을 위해 8월 8일 ‘AI 복지·돌봄 혁신 추진단(TF)’을 출범시키고, 정책 로드맵 수립에 본격 착수한다.


◆ 추진단 첫 회의 개최

보건복지부(장관 정은경)는 8일 이스란 제1차관 주재로 AI 복지·돌봄 혁신 추진단 제1차 회의를 개최했다. 

이날 회의에는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신영석 원장, 한국사회보장정보원 김현준 원장, 중앙사회서비스원 최신광 부원장, 한국보건산업진흥원 김기태 단장 등이 참석해 로드맵 수립 방향과 기관별 역할분담 방안, 향후 추진일정을 논의했다.


◆ 추진단 구성과 역할

추진단은 보건복지부 제1차관을 단장으로, 사회복지정책실장과 인구사회서비스정책실장을 공동 부단장으로 하는 4개 작업반으로 구성됐다.


▲ 기획총괄반 

AI를 활용한 복지·돌봄 혁신 로드맵 수립을 총괄하고 법·제도 개선과 인력양성 방안을 마련한다.


▲ 복지행정·데이터혁신반 

AI를 활용한 사각지대 발굴, 상담, 서비스 추천, 신청 지원 등 복지행정 전반의 혁신방안과 사회보장데이터 개방·활용 활성화 방안을 담당한다.


▲ 돌봄기술혁신반 

돌봄기술 R&D 투자 확대, 기술 상용화를 위한 실증 및 제도적 지원 등 전주기 기술지원 방안을 수립한다.


▲ AI 혁신포럼반 

적정 기술이 현장에 안착할 수 있도록 포럼 등을 통한 사회적 논의를 지원한다.


◆ 혁신 방안 모색과 추진 계획

추진단은 그간 보건복지부와 지방자치단체에서 추진해온 디지털 돌봄, AI 활용 복지 사업들의 성과와 한계를 분석하고, AI 기술의 잠재력을 활용해 복지·돌봄 서비스를 혁신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다. 

단기간에 즉시 시행 가능한 과제부터 중장기적인 국가 전략까지 마련하고, 사업 간 연계·협력을 촉진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추진단에는 보건복지부 관련 부서뿐만 아니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국사회보장정보원, 중앙사회서비스원,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등 유관기관도 참여해 AI 기술 활용 혁신 추진방안을 긴밀히 협의할 예정이다.


◆ 로드맵 발표와 향후 일정

추진단은 ‘AI 복지·돌봄 혁신 로드맵’을 마련해 내년 상반기 중 발표할 예정이며, 대책 마련 시까지 활동을 지속한다.


이스란 제1차관은 “복지·돌봄 분야에서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AI 기반 혁신과제를 발굴하기 위해 현장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고 실질적인 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어 “현재의 사회안전망을 누구도 빠져나갈 수 없는 '사회안전매트'로 더욱 촘촘히 강화해 나가겠다”며. “AI 기술을 적극 활용하되, 소외 없는 균형 잡힌 접근을 최우선으로 고려하겠다”고 강조했다.

[메디컬월드뉴스]


관련기사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10969265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7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 비보존, 한국다이이찌산쿄, 한미약품, GC녹십자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7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 비보존, 신신, 셀트리온, 한국아스트라제네카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7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ST, 머크, 알피바이오, 지씨셀, 큐라클 등 소식
분당서울대병원
아스트라제네카
국립암센터
분당제생병원
경희의료원배너
한림대학교의료원
서남병원
위드헬스케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