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감사원, 심평원 임직원 도덕적 해이 적발…심사위원들 이해충돌 논란 - 심평원 심사위원들 전 근무병원 부당심사 확인 등
  • 기사등록 2025-05-14 16:53:34
기사수정

건강보험심사평가원(심평원) 임직원들의 도덕적 해이가 적발됐다. 

감사원이 최근 3년간(2021∼2023년) 심평원 임직원의 복무 실태를 점검한 결과, 총 10명의 심사위원들이 임용 전 2년 이내 근무했거나 감사 당시 겸직 중인 ‘사적이해관계’ 요양기관의 급여 청구 건 총 63건을 직무 회피 신청 없이 심사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해충돌방지법과 심평원 내부 규정에 따르면 심사위원은 이런 경우 해당 직무를 회피해야 하지만 이를 지키지 않은 것이다.


◆ 과거 재직병원 심사 등 심각한 이해충돌로 심사 공정성 훼손

상근심사위원 A씨는 2020년 2월까지 특정 병원에 재직했음에도 심평원 재직 기간 중 해당 병원이 청구한 급여 심사를 16차례나 별도 회피 신청 없이 수행했다. 심평원은 이런 사실조차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었다.


이러한 행위는 요양급여 심사의 공정성을 심각하게 저해할 수 있다. 

자신이 과거에 몸담았거나 관계를 맺고 있는 기관의 심사를 맡게 될 경우 객관적인 판단보다는 사적 관계에 따른 유리한 결정이 내려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 무단 영리행위와 미신고 외부활동 다수 적발

▲ 2억 원 이상 겸직 수입

2019∼2022년 29명의 직원이 심평원장의 사전 허가 없이 직무 외 영리 업무를 통해 총 2억 3,920만원 상당의 수입을 올린 것으로 나타났다. 

심사직 과장 B씨는 4개 업체로부터 독일어 번역 업무를 받아 1억원 이상을 수령했다.

공공기관운영법 및 심평원 정관은 직원의 영리 목적 겸직을 금지하고 있으며, 비영리 목적 업무도 기관장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 외부 강의·자문 미신고

또한 23명의 직원은 같은 기간 외부 강의나 자문 등으로 총 921만원의 사례금을 받고도 심평원장에게 신고하지 않았다. 

심사위원 C씨는 두 개 기관에 의료자문 및 강의를 하고 218만원을 받았지만 이를 신고하지 않았다.


◆ 재발 방지 약속과 후속 조치

심평원은 감사 결과를 수용하며 관련 교육 강화 및 전산 점검 주기화 등을 통해 재발 방지를 약속했다. 

감사원은 강중구 심평원장에게 사적이해관계자 심사를 한 심사위원 10명, 무단 영리행위를 한 직원 29명, 외부활동 미신고 직원 23명에 대해 사안의 경중을 고려해 적정한 조치를 할 것을 통보했다.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



관련기사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10967538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3~4월 제약사 이모저모]갈더마, 동화약품, 셀트리온, 한소제약, 현대ADM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4월 제약사 이모저모]셀트리온, 한미약품, 한국MSD, GC녹십자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의료기기 이모저모]메드트로닉, 젠큐릭스, 코렌텍, GE 헬스케어 등 소식
분당서울대병원
아스트라제네카
국립암센터
분당제생병원
경희의료원배너
한림대학교의료원
서남병원
위드헬스케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