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40개 의대 중 최소 19개 의대 학생들이 전원 복귀한 것으로 확인됐다.
◆ 빅5와 거점국립대 중심 속속 복귀
서울대·연세대·성균관대·가톨릭대·울산대 등 이른바 ‘빅5’와 고려대, 조선대, 충북대, 충남대, 부산대, 중앙대, 을지대, 경희대, 경북대, 차의과대, 이화여대, 경상국립대, 가천대, 전남대 등 19개 의대에서 학생들이 모두 복귀했다.
의대생 복귀의 첫 물꼬를 튼 것은 지난 3월 21일 등록을 마감한 연세대였다. 연세대 의대 학생 비상시국대응위원회는 내부 논의를 통해 ‘등록 거부’에서 ‘등록 후 휴학’으로 방침을 바꾸고 가장 먼저 복귀했다.
이어 서울대 의대 의정갈등 대응 태스크포스(TF)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투표에서 3분의 2가 등록에 찬성하자 전원 등록하기로 결정했다.
서울대와 연세대 학생들이 이탈하면서 의대생들의 단일대오는 급격히 흔들리기 시작했다.
전남대와 조선대 의대생들은 각 대학이 공지한 복학 신청 기한을 넘겼으나, 교육부가 정한 시한인 3월 말이 도래하자 수도권 등 타지역 의대처럼 복귀로 선회했다. 교육부의 제시 기한 내 복귀로 대규모 제적 사태는 피하게 됐다.
강원지역 의대들 역시 마감 당일까지 추가 등록 기간을 운영했다. 강원대는 31일 자정까지 추가 등록 신청을 받았으며, 가톨릭관동대도 같은 시간까지 등록 신청을 수용했다.
(사진 :서울=연합뉴스, 서명곤 기자)
◆ 교육부 “진정한 복귀는 수업 참여”…의료계 “제적 협박” 반발
교육부는 교육 정상화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내달 초 복귀율을 취합할 예정이다.
건국대 등 일부 대학의 등록금 납부일이 4월 8일까지로 연장된 점을 고려해 정확한 복귀 규모는 4월 중순 이후에 발표될 전망이다.
교육부는 '전원 복귀'의 기준을 100% 복귀보다는 '정상적인 수업이 가능한 수준'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수업 참여를 진정한 복귀의 조건으로 제시했다.
교육부 구연희 대변인은 “단순히 복학 원서를 내고 등록금을 납부했다고 해서 복귀했다고 볼 수 없다”며, “수업에 참여하는지 보면서 '실질적 복귀'를 판단하려면 시간이 더 걸릴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등록 후 수업을 거부할 경우 유급 처리를 하는 학교가 있는데 학교별로 연속 2회 유급 또는 합산 3∼4회 유급이면 제적되는 학교도 있다”고 경고했다.
반면 의료계에서는 교육부와 대학의 압박에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강원특별자치도의사회는 성명을 통해 “교육부와 의대 학장·총장들이 학생들이 적법하게 제출한 휴학계를 반려시키고 미등록 시 제적시킨다는 말도 안 되는 협박을 통해 학생 복귀를 강요하고 있다”며, 학업의 자유 보장을 촉구했다.
◆ ‘등록 후 투쟁’ 가능성
교육부가 의대 교육 정상화 조건으로 제시한 내년도 의대 모집인원 3,058명(증원 전 수준) 약속은 지켜질 가능성이 높아졌다.
그러나 수업 참여를 둘러싼 갈등은 여전히 불씨로 남아있다.
서울대와 연세대 의대 학생회는 복귀를 결정하면서도 ‘등록 후 투쟁’을 이어가겠다고 예고했다.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 학생협회(의대협)도 “온갖 협박과 유린, 계엄에도 결국 학생들은 한곳으로 또 모인다. 학생들이 모이는 한 의대협 역시 포기하지 않겠다”며 투쟁 지속 의지를 표명했다.
의료계에서는 이미 의미 있는 수업이 가능한 수준이라고 보고 있지만, 복학한 의대생들이 수업 불참 방식으로 단체행동을 이어갈 가능성도 여전히 남아있어 의대 교육의 실질적 정상화 여부는 시간을 두고 지켜봐야 할 과제로 남았다.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