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만성 어지럼증, 짧은 수면시간·스트레스·우울증상 등과 연관성 규명 - 분당서울대병원 박혜연 교수팀
  • 기사등록 2025-02-03 21:20:03
기사수정

어지럼증은 성인 3명 중 1명이 경험할 정도로 흔한 증상이며, 환자의 일상생활을 방해하고 삶의 질을 크게 낮추는 질환이다. 


특히 적절한 치료가 없으면 어지럼증이 3개월 이상 지속되는 만성 어지럼증으로 진행될 수도 있다.


기존 연구에서는 어지럼증의 위험 요인으로 성별(여성), 고령, 기저질환 유무가 주로 지목됐지만, 불안 장애, 우울증 등 심리적 요인이 어지럼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부족했다. 


이런 가운데 전국민을 대상으로 한 코호트 데이터 분석을 통해 어지럼증과 심리적 요인 관계가 밝혀졌다.


분당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박혜연 교수팀은 심리적 요인이 어지럼증 발생과 악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구체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연구를 진행했다.


교수팀은 질병관리청 국민건강영양조사 데이터를 활용해 국내 40세 이상 성인 4,147명의 데이터를 분석했다. 


어지럼증 유무에 따라 두 그룹으로 나누었으며, 그중 어지럼증을 경험한 1,102명을 대상으로 만성 어지럼증 여부를 추가로 구분했다. 


분석 변수는 성별, 연령, 건강 상태, 수면시간, 스트레스, 우울 증상, 식이 및 영양 상태 등을 포함했으며, 어지럼증과 관련된 우울 증상 패턴을 확인하기 위해 네트워크 분석 기법을 적용했다.


그 결과, 어지럼증은 특히 여성에게서 더 자주 발생했으며, 일상에서 스트레스를 많이 받거나 우울한 증상이 있는 사람에게서 발생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차이도 발견됐다. 여성의 경우 관절염 진단, 흡연, 스트레스, 우울이 어지럼증과 관련된 반면, 남성은 연령, 교육수준, 음주, 스트레스 및 우울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3개월 이상 지속되는 만성 어지럼증은 고막이상, 당뇨와 같은 기저질환 이외에도 5시간 이하의 짧은 수면시간, 높은 스트레스와 우울 수준이 연관되어 있었다. 


이는 어지럼증 환자들에게 신체적 치료와 함께 적절한 수면시간과 스트레스나 우울 등 심리적 요인 치료가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만성 어지럼증과 일반 어지럼증은 우울 증상의 양상이 서로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 어지럼증 환자의 경우 우울한 기분 자체가 주요한 증상이지만 만성 어지럼증 환자의 경우 몸이 느려지거나 초조해 지는 등의 신체적 증상이 두드러졌다. 


이는 만성 어지럼증이 우울한 기분을 넘어 정신운동 기능과 관련된 신체적 증상과 관련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표. 일반 어지럼증 환자와 만성 어지럼증 환자의 우울증 패턴. 일반 어지럼증 환자는 우울 증상의 중요도만 높은 반면 만성 어지럼증 환자는 이외에도 사고 지연·초조의 중요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번 연구는 전국 단위의 대규모 국민 코호트 데이터를 활용해 어지럼증과 만성 어지럼증의 주요 요인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심리적 요인과 어지럼증의 상관성을 명확히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박혜연 교수는 “이번 연구로 성별에 따른 어지럼증 요인의 차이와 만성 어지럼증에서의 주요 우울 증상 패턴을 밝혀내 향후 맞춤형 치료 수립에 중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라며, “어지럼증은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질환이므로 이비인후과, 신경과, 정신건강의학과 등이 협력하는 다학제적 치료 접근이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BMC 정신의학(BMC Psychiatry, IF 4.4)’에 게재됐다.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


관련기사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10965675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2025년 의료계 신년하례회 개최…의협, 병협, 국민의힘, 더불어민주당 등 참석
  •  기사 이미지 [1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제약, 로레알, 비보존, CJ바이오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1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제약, 셀트리온, 펩트론, 한국애브비, GC녹십자웰빙 등 소식
분당서울대병원
아스트라제네카
국립암센터
분당제생병원
경희의료원배너
한림대학교의료원
서남병원
위드헬스케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