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대한고혈압학회 창립 30주년 기념 제61회 추계학술대회 개최 - 최신 지견부터 정책토론까지
  • 기사등록 2025-02-03 17:30:02
기사수정

대한고혈압학회(회장 이무용, 이사장 신진호, 학술이사 신정훈)가 지난 2024년 12월 8일~9일 여의도콘래드호텔서울에서 창립 30주년 기념 제61회 추계학술대회를 개최했다.   


‘함께한 30년, 함께할 100년, 대한고혈압학회’라는 주제로 진행된 이번 학술대회는 국제학술대회인 Hypertension Seoul 2024로 진행됐다. 

(사진 : 김대희 홍보이사, 신진호 이사장, 편욱범 30주년 준비위원장, 김광일 총무이사, 김현창 역학연구회장, 신정훈 학술이사)


◆새로운 패러다임 공유 및 토론 

최근 고혈압 진단 및 치료 영역에서 새로운 패러다임의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이번 학회에서는 ▲다양한 웨어러블 혈압 측정 기기 개발, ▲다양한 혈압 관리 평가 척도의 개발과 평가, ▲고혈압 신약 임상연구 결과, ▲고혈압 관리 및 치료 분야에서 인공지능과 디지털 헬스케어의 활용 등 다양한 학술 주제에 대한 최신 연구와 트렌드를 공유하고 토론하는 자리로 마련돼 눈길을 모았다.


◆Plenary Lecture & Special Lecture

이번 학술대회 Plenary Lecture는 세계고혈압학회(International Society of Hypertension, ISH) 회장인 영국의 Bryan Williams 교수가 ‘A New Dawn for Aldosterone in Hypertension’이라는 주제로 진행됐다. 


Special Lecture는 ▲미국 NIH의 Oh Youngsuk 교수가 ‘Research Activities Supported by Vascular Biology and Hypertension Branch, NHLBI, NIH’, ▲이탈리아의 Gianfranco Parati 교수가 ‘Nocturnal Blood Pressure Monitoring: Methodological and Clinical Aspects’이라는 주제로 각각 발표를 진행했다. 


이외에도 약 10명의 저명한 해외 연사들이 최신 고혈압 연구 결과를 주제로 강연과 패널 토론을 진행해 관심을 모았다.

◆조인트 심포지엄 진행  

대한신장학회와 대한비만학회와의 조인트 심포지엄도 진행됐다. 

이 심포지엄을 통해 만성 콩팥병, 비만 등 주요 동반 질환에서의 고혈압 관리 전략에 대한 논의 및 정보교류가 이어졌다.


◆젊은 연구자들을 위한 프로그램 운영 

개원의 및 전공의 연수강좌, 고혈압 전문가 육성을 위한 교육과정인 윈터스쿨 등은 물론 고혈압 관련 심도 있는 토론의 장으로 온라인 프로그램인 Hypertension Enrichment Program도 운영한다.

이를 통해 젊은 연구자들에게 많은 교육과 학술 활동의 기회를 넓혀 나가는 등 학회의 미래를 공고히 하기 위한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대국민 고혈압 관리를 위한 정책 토론 등 마련 

최근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는 청소년 및 젊은 성인, 고령층, 여성에서의 고혈압 관리 및 치료에 대해서도 논의하는 세션이 진행됐다.

또한 대국민 고혈압 관리를 위한 정책 토론과 학회지 발전 방향에 대한 논의도 이어졌다.


◆대한고혈압학회지, SCI-E 등재 추진  

대한고혈압학회지는 현재 E-SCI에 등재된 상황이고, SCI-E 등재도 적극 추진한다.

편욱범 위원장은 “대한고혈압학회지가 올해 Q2까지 상승했다. 다른 유관학회지보다 높게 평가받고 있다.”라며, “SCI-E 등재를 통해 한단계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도록 하겠다.”라고 말했다.


신진호 이사장은 “의료계 전체가 어려움을 겪는 상황에서도 환자를 위한 고민과 최신 학술 지견에 대한 연구는 지속되어야 하기에, 우리 학회는 더욱 임상에 도움이 되는 알찬 학술 프로그램을 준비, 진행했다.”라며, “이번 추계학술대회를 통해 회원 여러분의 임상 활동과 학문적 연구 성과에 도움이 되기를 기원하며, 대한고혈압학회의 역량을 널리 알리고 회원 간의 교류를 넓히며 진정한 지식 확장의 장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



관련기사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10965654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국내 첫 백일해 사망자 발생…“임부 예방접종 및 예방적 항생제 사용 필요”
  •  기사 이미지 국내 비만병 유병률 증가…2035년 사회경제적 비용 약 98조 원 예상
  •  기사 이미지 폐경기 여성에게 예방접종이 중요한 이유는?
대한골대사학회
대한두경부외과학회
대한비만연구의사회
위드헬스케어
캐논메디칼
올림푸스한국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