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골대사학회 소속 전문가들 10명 중 9명 “골다공증 치료, 정부 정책 지원 충분하지 않다” - 대한골대사학회 신임정부에 ‘골다공증성 골절 예방 국가 책임제’ 정책 … -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이종성 의원실과 정책토론회 공동개최
  • 기사등록 2022-05-29 00:13:51
기사수정

대한골대사학회(회장 한명훈∙이사장 하용찬) 소속 전문가들 10명 중 9명이 “골다공증 치료와 관리에 대한 정부 정책 지원이 충분하지 않다”고 밝힌 것으로 조사됐다.

 

대한골대사학회 하용찬(서울부민병원 부원장, 정형외과) 이사장이 지난 5월 26일 개최된 제34차 춘계학술대회 제10차 Seoul Symposium on Bone Health에서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이종성 국회의원실과 함께 ‘골다공증성 골절 예방’ 국가책임제 도입과 3대 책임과제 추진을 위한 정책토론회에서 이같은 조사결과를 발표했다.

◆골다공증 전문가들 한 목소리 “검진·사후관리 강화, 질환 인식제고 필요”

하용찬 이사장은 ‘활력 있는 초고령사회 만들어갈 신임 정부에 바란다: 골다공증성 골절 예방 국가책임제’ 주제 발표에서 대한골대사학회 소속 전문가 537명이 참여한 ‘2022 골다공증 치료·관리 정책 수립을 위한 전문가 인식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지난 4월 수행된 이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 10명 중 9명(87.7%)이 골다공증 치료와 관리에 대한 정부 정책 지원이 충분하지 않다고 응답했다.

전문가들은 가장 시급한 정책 추진 사항으로 ‘최신 국제·국내 진료지침에 따른 골다공증 약제의 건강보험 급여 확대(85.7%)’를 꼽았다.


이어서 ‘고혈압, 당뇨병 등과 같이 정부 만성질환 관리사업에 골다공증 포함(45.1%)’, ‘국가 골다공증 검사 기회 확대 및 사후관리 강화(38.0%)’, ‘대국민 골다공증 질환 인식 제고 및 교육(27.4%)’ 순으로 응답했다(1+2위 중복응답 값). 

또 ‘국가 차원의 골다공증 검사’ 활성화를 위한 효과적인 정책으로는 ‘국가건강검진 내 골다공증 유소견자에 대한 적극적인 사후관리 강화(69.8%)’와 ‘국가건강검진 내 골밀도 검사의 골밀도 수치 제공(67.0%)’이 높은 비율의 응답을 차지했다.


‘대국민 골다공증 질환 인지 제고’를 위한 효과적인 정책 지원으로는 ‘질병관리청의 만성질환 캠페인 내 ‘골다공증 및 골절’ 질환 캠페인 사업 시행(76.2%)’의 필요성이 높게 나타났다(1+2위 중복응답 값).

하용찬 이사장은 이같은 올해 인식조사 결과와 지난 2021년 대한골대사학회가 발표한 ‘대한민국 노인 골절 예방 2025 로드맵’을 기반으로 ‘골다공증성 골절 예방 국가책임제’ 추진을 제언하며 △국가건강검진 골다공증 검사 확대 및 사후관리 강화, △지속적인 골절 예방을 위한 ‘뼈 건강 선순환’ 치료 환경 보장, △초고령사회 뼈 건강 관리를 위한 전국 단위 대국민 질환 캠페인 추진이라는 ‘3대 핵심 정책과제’를 소개했다.


◆국가건강검진 인프라 활용…골다공증 검사 효율화 및 사후관리 강화 필요 

대한골대사학회 김하영(울산의대 강릉아산병원 내분비내과 교수)학술이사는 첫번째 핵심과제인 ‘국가건강검진 인프라를 활용한 골다공증 One-stop 관리 체계 구축방안’을 제언했다. 

김하영 이사는 “건강검진기본법에 따라 국민의 건강위험요인과 질병을 조기에 발견, 진단, 치료하고 사후관리가 될 수 있도록 골다공증 환자를 위한 국가건강검진의 효과를 높여야 한다”며, “대선공약이었던 국가건강검진 골밀도검사 제도 개선에 있어, 국가건강검진 서비스 단계별로 ‘골다공증 질환 교육 - 골밀도검사 효율화 - 골다공증 유질환자 사후관리 개선’을 통해 수혜자 중심으로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수검자들에게 국가건강검진 결과를 제공할 때 골밀도 수치(T-score) 및 골밀도 검사 결과지 사본을 제공하고, 골다공증 유소견자를 대상으로 문자, 전화 등을 활용해 적극적으로 사후관리에 힘써야 한다고 제언하고 학회의 적극적인 협력 의지를 강조했다.


◆최신 진료지침에 따라 골다공증 약제 급여기준 개선 필요 

대한골대사학회 김경민(연세의대 용인세브란스병원 내분비내과 교수)역학이사는 ‘골다공증 환자 중심의 뼈 건강 선순환 치료 환경 개선 방안’ 발표를 통해 두 번째 핵심과제인 골다공증 지속치료 환경 개선안을 제언했다. 

김경민 이사는 “현재 지속치료가 필요한 주요 만성질환들 중 약물 투여기간에 급여 제한이 있는 질환은 골다공증이 유일하며, 어떤 만성질환도 약물치료 도중 혈압, 혈당 등의 수치가 조절된다고 해서 치료약제의 보험급여를 중단하지 않는다”며, “골밀도 수치(T-Score) -2.5를 기준으로 투여기간을 제한하는 나라는 전 세계에서 한국이 유일한데 -2.5라는 골밀도 수치(T-Score)가 골다공증 환자의 정상 상태 회복 및 치료 목표 달성을 의미하지 않는 만큼, 국제 진료지침에 맞게 현행 골다공증 약제의 투여기간 제한을 개선해야한다”고 제시했다.

◆골다공증 위험성…대국민 질환 인식 개선 캠페인 필수

대한골대사학회 이유미(연세의대 세브란스병원 내분비내과 교수)총무이사는 세 번째 핵심과제로 국가 주도 인식개선 사업 및 전국 단위 캠페인 추진을 제언했다.

이유미 이사는 이번 전문가 인식조사 결과를 토대로 “골다공증 검사율과 치료율은 현재 여전히 낮은 편이며, 그 원인은 ‘자각증상이 없는’ 골다공증 질환 특성 상 환자들이 뼈가 부러지기 전에 골절 위험과 골다공증 심각성을 모르는 데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국가-학계-지역사회의 협업을 통해 골다공증 질환 인식 캠페인 사업을 전국 단위로 본격 추진하여 우리나라 국민들이 보다 자발적, 적극적으로 골밀도검사와 골다공증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며, 구체적인 인식개선 사업 방안을 질병관리청에 제언했다. 

특히 이 이사는 “수 년 간 질병관리청이 심뇌혈관질환의 예방과 관리를 위한 인식 개선사업을 적극 추진한 결과 고혈압·당뇨병·이상지질혈증 관리율이 높아졌다”며, “이 사례를 벤치마킹하여 질병관리청이 초고령사회의 ‘골절 예방 및 골다공증 관리 컨트롤타워’가 되어줄 것을 요청한다”고 밝혔다.


◆구체적인 정책 추진 방안 논의

종합 패널토론에서 국회, 언론 및 정부기관 관계자들이 ‘골다공증성 골절 예방 국가책임제 및 3대 핵심과제’ 추진을 위한 구체적인 논의를 진행했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이종성(국민의힘) 의원실 성종호 선임보좌관은 ‘초고령사회, 신임정부 및 여당의 골다공증 정책 과제와 대선공약 실행 방안’을 주제로 “오늘 학회의 정책 제언들은 우리나라 어르신들에게 큰 공감대를 불러일으킬 것이다. 어르신들을 위해 새 정부가 골다공증 치료환경 개선 및 관리 강화에 성공하도록 국회가 힘을 보탤 것이다”고 약속했다.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관리실 박용표 부장은 ‘국가건강검진 내 골다공증 검진 현황 및 검진 이후 사후관리 방안’을 토론하며 “국가건강검진을 통해 골다공증이 효과적으로 관리될 수 있도록 골밀도검사 결과제공 방안, 검진과 치료가 신속하게 연계되는 사후관리 방안 등을 추진해나가겠다”고 설명했다. 

보건복지부 보험약제과 최경호 사무관은 ‘보건복지부의 효과적인 골다공증 치료 지원 정책 방향’에 대해 “진료지침에 따른 과학적인 진료와 치료가 가능하도록 적극 검토하고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질병관리청 만성질환예방과 김우정 사무관은 ‘초고령사회 노인 만성질환으로서 골다공증 인식 개선 및 관리 방향’을 주제로 “질병청의 만성질환 관리사업 경험과 체계를 토대로 골다공증 인식개선 사업 추진도 학계와 지속적으로 협력해나가겠다”고 밝혔다.

이어 ‘초고령사회 최우선 보건의료 과제로서 골다공증 관리 및 정부 지원과 정책 방향 등에 대한 언론의 제언’을 주제로 헬스조선 이금숙 기자는 “골다공증의 심각한 위험성에 대한 인지도 향상과 관련 대선공약 이행을 위해 언론에서도 함께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하용찬 이사장은 “신임정부가 튼튼한 뼈에 기반한 건강하고 활력 넘치는 초고령사회를 열어갈 수 있도록, 오늘 토론회에서 나눈 구체적이고 풍부한 논의를 바탕으로 골다공증성 골절 예방 국가책임제가 추진되길 기대한다”며, “대한골대사학회 또한 유관기관 및 유관학회와의 협력을 통해 정부 정책 수립에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종성(국민의힘, 비례대표)의원은 축사를 통해 “수 년 전부터 국회는 초고령사회의 대표적인 노인 만성질환인 골다공증 관리에 국가가 적극 나설 필요성에 공감해 왔으며 골다공증성 골절 예방을 위한 정책토론회, 국정감사 질의, 정부부처 협의 등을 진행해왔다”며, “골다공증 관리 강화에 대한 대선공약이 발표됐던 만큼 집권여당의 국회의원이자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의 일원으로서 오늘 제언되는 정책과제들을 지속적으로 검토하고, 어르신들의 건강한 노후를 위한 ‘뼈 건강 관리정책’ 수립과 추진에 최선을 다할 것이다”고 말했다.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

관련기사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10949846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대한안과학회, '눈의 날' 맞아 유튜브 채널 ‘눈에 띄는 이야기' 오픈
  •  기사 이미지 대한소아감염학회, 제11판 예방접종지침서 개정판 최다 변경 부분들 소개
  •  기사 이미지 대한당뇨병학회 ICDM2024 개최…30개국 약 1,700명 이상 등록
대한골대사학회
대한두경부외과학회
대한비만연구의사회
위드헬스케어
캐논메디칼
올림푸스한국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