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보건진료 전담공무원…전라남도 328명, 경상남도 299명 VS. 서울 0명 - 2016년 이후 활동 의사 7,915명 증가…74.8% ‘수도권·부산·대구’로 몰려
  • 기사등록 2020-10-07 01:26:20
기사수정

농어촌 지역은 의사가 부족해 간호사, 조산사 등의 자격을 보유한 1,880명의 공무원이 의료행위를 대신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료 취약지역을 위해 1980년에 도입된 제도가 40년이 지난 이후에도 많은 농어촌 지역에서 여전히 계속되고 있는 셈이다.
더불어민주당 김원이(전남 목포시) 국회의원이 한국건강증진개발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보건진료 전담공무원은 2019년 기준 전국에서 1,880명이 근무하고 있었다.


◆보건진료 전담공무원 근무 현황
하지만 보건진료 전담공무원 근무 현황을 보면 서울은 0명이었지만, 전남 328명(17.4%), 경북 299명(15.9%), 전북 238명(12.7%), 충남 236명(12.6%), 경남 213명(11.3%) 등에서는 많은 보건진료 전담공무원이 의사 대신 업무를 수행하고 있었다.

◆최근 4년간 배출된 의사들 대부분 수도권 및 대도시 집중
반면, 최근 4년간 배출된 의사들은 수도권 및 대도시에 몰리는 현상이 여전했다.
김원이 의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6년 대비 2019년 활동 의사 수는 7,915명이 증가했지만, 이 중 5,920명(74.8%)의 의사들은 수도권, 부산, 대구 등 대도시에서 활동을 하고 있었다.
보건진료 전담공무원이 328명으로 가장 많은 전남의 의사 수는 86명이 증가해 전체 증가 의사수의 1.1%에 불과했다.
김원이 의원은 “의사 수가 늘어나더라도 배출된 의사의 대부분이 수도권과 대도시에서 활동하고 있다. 의사들의 수도권 쏠림현상으로 인해 비수도권 지역에서는 여전히 의료공백이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며, “사는 곳이 섬이고, 지방이라서 치료 받을 권리에 차별이 있으면 안된다. 모든 국민은 질 높은 의료서비스를 받을 권리가 있고, 국가는 모든 국민에게 질 높은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의무가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보건진료전담공무원은 1980년 농어촌의료법을 통해 생긴 직렬. 의사가 없는 의료 취약지역에서 ‘간호사 및 조산사’ 자격을 가진 사람이 일정 시간 이상의 교육을 수료한 뒤 경미한 의료행위를 행하는 공무원이다.
[메디컬월드뉴스]


관련기사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10938009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2025년 의료계 신년하례회 개최…의협, 병협, 국민의힘, 더불어민주당 등 참석
  •  기사 이미지 [1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제약, 로레알, 비보존, CJ바이오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1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제약, 셀트리온, 펩트론, 한국애브비, GC녹십자웰빙 등 소식
분당서울대병원
아스트라제네카
국립암센터
분당제생병원
경희의료원배너
한림대학교의료원
서남병원
위드헬스케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