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엘리퀴스, 임상 4상 AUGUSTUS 연구 결과 발표 - 급성관상동맥증후군 동반 비판막성 심방세동 환자 - 비타민 K 길항제 대비 양호한 출혈 관련 안전성 보여
  • 기사등록 2019-03-22 00:56:44
기사수정

아스피린 복용 여부와 무관하게 P2Y12 억제제를 투여 받은 환자에서 6개월 차에 주요 출혈 또는 비주요 출혈(CRNM)이 나타난 환자 비율은 엘리퀴스 치료군이 비타민 K 길항제 치료군 대비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브리스톨-마이어스 스퀴브(BMS)와 화이자는 이같은  임상 4상 AUGUSTUS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AUGUSTUS는 경피적관상동맥중재술(PCI) 시술 경험과 관계없이 급성관상동맥증후군(ACS)을 동반한 비판막성 심방세동(NVAF) 환자를 대상으로 엘리퀴스(성분명: 아픽사반)와 비타민 K 길항제(VKAs)를 비교하는 연구이다. 


해당 데이터는 지난 3월 16일부터 18일까지(현지시간) 미국 로스앤젤레스 뉴올리언스에서 열린 미국심장학회(ACC) 제68회 2019 연례과학세션에서 최신 구두 발표로(초록 405-08) 소개됐으며, 동시에 뉴잉글랜드저널오브메디슨(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에 게재됐다.

엘리퀴스와 비타민 K 길항제 비교와 독립적으로 P2Y12 억제제와 항응고제 치료를 받는 환자에서 6개월 차에 주요 출혈 또는 비주요 출혈이 나타난 환자 비율은 아스피린 치료군이 위약 치료군 대비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각각 16.1% vs. 9.0%; HR: 1.89, 95% CI: 1.59-2.24; p<0.001).</p>

AUGUSTUS 시험의 책임연구원이자 듀크임상연구소(Duke Clinical Research Institute)의 레나토 D. 로페스(Renato D. Lopes) 박사는 “주요 출혈에 대한 우려로 인해 경피적관상동맥중재술 시술 경험과 관계없이 급성관상동맥증후군을 동반한 비판막성 심방세동 환자의 치료에 대해 지속적으로 의문이 있어왔다”며, “이번 AUGUSTUS 임상 결과는 의료진이 이러한 고위험 환자를 치료하는 데 활용할 수 있는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한다”고 평가했다.

또 이번 연구에서는 사망 또는 입원 그리고 사망 또는 허혈성 사건(심근경색, 뇌졸중, 확실하거나 가능성이 있는 스텐트 혈전증 또는 긴급한 혈관재개 등)에 대해 미리 정의된 2차 복합 결과변수도 함께 분석됐다. 

아스피린 복용 여부와 무관하게 P2Y12 억제제를 투여 받은 엘리퀴스 치료군은 VKA 치료군 대비 6개월 차 사망 또는 입원 비율이 더 낮았으며(각각 23.5% vs. 27.4%; HR: 0.83, 95% CI: 0.74-0.93; p=0.002), 사망 또는 허혈성 사건 발생은 유사했다(각각 6.7% vs. 7.1%; HR: 0.93, 95% CI:0.75-1.16; p=NS). 

P2Y12 억제제와 항응고제를 투여 받은 아스피린 치료군은 위약군 대비 사망 또는 입원 비율이 유사했으며(각각 26.2% vs. 24.7%; HR: 1.08, 95% CI: 0.96-1.21; p=NS), 사망 또는 허혈성 사건도 차이가 없었다(각각 6.5% vs. 7.3%; HR: 0.89, 95% CI: 0.71-1.11).


심방세동은 전 세계에서 가장 흔한 부정맥으로 2010년 기준 약 3,300만명이 앓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심방세동 환자의 20~30%가 관상동맥질환을 동반하고 것으로 추정되며, 이로 인해 급성관상동맥증후군이 발생하거나 경피적관상동맥중재술이 필요할 수 있다. 

실제 경피적관상동맥중재술을 받는 환자의 5~10%가 심방세동 환자였다. 경구용 항응고제와 이중 항혈소판 요법은 각각 뇌졸중과 재발성 허혈성 사건 위험을 줄이는데 도움을 줄 수 있지만, 함께 사용하게 되면 출혈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고위험 환자의 항혈전 치료를 진행 시 도움이 될 만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BMS의 심혈관계 개발수석 크리스토프 쾨넨(Christoph Koenen)은 “비판막성 심방세동으로 인해 뇌졸중 위험이 높은 환자의 치료제 개발은 BMS-화이자의 우선 과제이다”며, “AUGUSTUS 시험은 고위험 환자의 항응고 치료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기 위한 우리의 의지를 담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AUGUSTUS 연구는 4,61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한 전향적 무작위 임상시험으로 아래의 두 가지 독립된 가설을 평가하기 위해 설계됐다.

▲경피적관상동맥중재술 시술 경험과 관계없이 최근 급성관상동맥증후군을 동반하고, 계획된 항혈소판제(P2Y12 억제제+저용량 아스피린) 병용 치료를 받은 비판막성 심방세동 환자에서 1일 2회 엘리퀴스 5mg 요법이 비타민 K 길항제 대비 세계혈전지혈학회(ISTH) 기준에 따른 주요 출혈 또는 비주요 출혈 결과가 비열등한지 또는 우월할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경피적관상동맥중재술 시술 경험과 관계없이 최근 급성관상동맥증후군을 동반하고, 계획된 항응고제(엘리퀴스 5mg* 1일 2회 또는 비타민 K 길항제) 병용 치료를 받은 비판막성 심방세동 환자에서 P2Y12 억제제를 통한 단독 항혈소판 요법이 P2Y12 억제제와 저용량 아스피린을 병용하는 이중 항혈소판 요법 대비 세계혈전지혈학회 기준에 따른 주요 출혈 또는 비주요 출혈 결과가 우월한지 여부.

*환자가 다음의 두 가지 이상의 용량 감소 기준에 해당하는 경우 1일 2회 2.5mg: 80세 이상, 몸무게 60kg 이하 또는 크레아티닌 1.5mg/dL (133micromol / L) 이상.

[메디컬월드뉴스]

관련기사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10929943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4월 제약사 이모저모]셀트리온, 한미약품, 한국MSD, GC녹십자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의료기기 이모저모]메드트로닉, 젠큐릭스, 코렌텍, GE 헬스케어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4~5월 제약사 이모저모]사노피, 셀트리온, 제테마, 머크, 한국팜비오 등 소식
위드헬스케어
한국화이자제약
GSK2022
한국얀센
한국MSD 202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