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일부 하천수·농업용수에서도 노로바이러스 검출 - 충북대 김광엽 교수팀, 농산물·농업용수 등 401건 분석 결과
  • 기사등록 2018-02-25 00:47:59
기사수정

평창 동계올림픽 현장에서 ‘고춧가루’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는 노로바이러스가 식품은 물론 일부 농업용수·하천수에도 오염돼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노로바이러스가 겨울 식중독균으로 알려져 있지만 늦봄인 5월까지는 안심할 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3일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에 따르면 충북대 식품생명공학과 김광엽 교수팀이 2015년 1∼11월 노로바이러스가 존재할 것으로 추정되는 지역에서 수집한 농산물 80건, 토양 80건, 인체분변 78건, 가축분변 3건, 농업용수 80건, 하천수 80건을 검사한 결과 이같이 조사됐다. 


모두 401건의 시료를 분석한 결과 노로바이러스가 검출된 것은 18건(검출률 4.5%)이었다. 농산물 80건 중 노로바이러스 검출된 것은 3건(3.8%)으로, 양배추(2건)와 오이(1건)였다. 


농업용수(80건)에선 6건(7.5%), 하천수(80건)에선 9건(11.3%)의 노로바이러스가 검출됐다. 토양(80건)·가축분변(3건)·인체분변(78건)에선 노로바이러스가 검출되지 않았다.  


일부 농업용수·하천수에서도 노로바이러스가 검출됐다는 것은 농촌 주민이 겨울에도 물을 함부로 마셔선 안 된다는 것을 뜻한다. 


겨울 가뭄으로 식수난을 겪는 일부 농촌지역에서 수돗물 공급이 끊기거나 제한 급수가 이뤄지면 지하수·농산물 전(前)처리용 물 등을 식수로 활용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노로바이러스 식중독은 기온이 떨어지는 겨울에 더욱 기승을 부리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에선 ‘윈터 보미팅’(winter vomiting)으로 통한다. 


겨울에 구토를 하게 하는 병이란 뜻이다. 이번 연구에서도 1∼2월에 채취한 시료에서의 노로바이러스 검출건수가 연간 전체 검출건수의 27.8%를 차지했다. 하지만 3∼5월에 채취한 시료의 노로바이러스 검출건수가 연간 전체 검출건수의 61.6%를 점유했다. 


이는 겨울은 물론 늦봄까지는 노로바이러스에 대한 경계를 늦출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김 교수팀은 논문에서 “6월에 채취한 시료에선 노로바이러스가 1건도 검출되지 않았다”며, “노로바이러스는 환경에 대한 생존력이 강해 계절에 상관없이 연중 발생한다는 연구결과도 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한국식품과학회지 최근호에 ‘한국에서의 농산물 및 환경시료에서 노로바이러스와 위생지표세균의 모니터링’이라는 내용으로 소개됐다. 


한편 노로바이러스는 손을 잘 씻고 물을 끓여 마시고 음식을 충분히 익혀 먹는 등 개인위생이 최선의 예방법이다. 특효약이 없어 물을 자주 마시는 등 탈수 예방에 주력하면서 자연 치유되길 기다리는 수밖에 없다. ​



관련기사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10924315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대한노년근골격의학회 권순용 회장 “노인의학 다학제 진료 수가 신설 등 필요”
  •  기사 이미지 한국지질·동맥경화학회, 2024춘계학술대회 첫 지방 개최…약 600명 참석
  •  기사 이미지 대한천식알레르기학회, 서울국제학술대회 개최…25개국 600명 이상 참석
대한골대사학회
대한두경부외과학회
대한비만연구의사회
위드헬스케어
캐논메디칼
올림푸스한국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