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빈혈 있으면 치매위험 24% 증가, 심한 빈혈 5.72배 높아져 - 삼성서울병원 신동욱·서울대 정수민 전임의, 66세 검진받은 노인 37,900명 추…
  • 기사등록 2017-12-30 00:37:52
기사수정

빈혈이 있는 노인들이 치매 위험이 증가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삼성서울병원 신동욱, 서울대병원 정수민 전임의 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 검진 코호트자료를 바탕으로 2007년부터 2011년 사이에 66세 노인들을 대상으로 시행되는 생애전환기 검진에 참여한 3만 7,900명의 자료를 분석, 이 같이 밝혔다. 


연구팀에 따르면 빈혈이 있는 환자들에서의 치매 발생은 24%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인지기능에 대한 기초선 결과를 포함한 여러 다른 인자들을 보정한 것이다. 


특히 빈혈이 심할수록 치매의 위험이 높아졌는데, 경도의 빈혈이 있는 경우(남자의 경우 11~13, 여자의 경우 11~12) 치매위험은 19%, 중등도의 빈혈이 있는 경우 47%, 심한 빈혈이 있는 사람은 5.72배로 급증하는 양상을 보였다. 


또 4년 후에 인지기능 검사를 반복 시행한 결과와 비교했을 때 빈혈이 있던 그룹에서는 인지기능 저하가 나타날 가능성이 30% 높아 빈혈과 치매 발생 사이의 연관성을 뒷받침했다. 


정수민 전임의는 “노인에서 빈혈은 흔한 문제이다. 모든 빈혈이 쉽게 교정 가능한 것은 아니지만, 철 결핍이나 비타민 B12결핍 등 쉽게 교정가능한 원인이 있는지 확인하고 교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신동욱 교수는 “치매는 인구의 고령화와 추세와 더불어 특히 사회적으로 큰 부담을 일으키는 질환으로, 아직 뚜렷한 예방법이 밝혀져 있지 않다. 이 번 연구는 우리나라의 건강보험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교정이 가능할 수 있는 원인 인자를 찾아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인 치매 연구와 치료 (Alzheimer Research & Therapy, IF=6.196)지에 최근호에 게재됐다. 


한편 빈혈은 헤모글로빈 수치(g/dl)를 기준으로 남자는 13이하, 여자는 12이하로 정의된다. 


또 빈혈이 어떻게 치매를 일으키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만성적인 뇌의 저산소증이나, 뇌 피질의 위축, 뇌신경전달물질에의 영향, 비타민 B12의 부족 등이 기존 연구에서 거론되어왔다.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10923300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5월 3일 병원계 이모저모②]고려대의료원, 전북대병원, 한국원자력의학원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4~5월 제약사 이모저모]멀츠, 바이엘 코리아, 신신제약, 사노피, 한국노바티스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4~5월 제약사 이모저모]한국오가논, 셀트리온, 에스바이오메딕스, 앱티스, 한국다케다제약 등 소식
분당서울대병원
아스트라제네카
국립암센터
분당제생병원
경희의료원배너
한림대학교의료원
대전선병원
서남병원
위드헬스케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