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어린이 건강 해치는‘어린이 음료’…비만과 치아손상 우려 - 뽀로로~, 로보카폴리 등 일명‘캐릭터 음료’기준도 없어
  • 기사등록 2015-09-15 07:41:03
기사수정

시중에서 판매되는 어린이 음료가 어린이 건강에 위험을 가져올 수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인재근 의원(새정치민주연합, 보건복지위원회, 서울 도봉갑)이 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 식약처)로부터 제출받은,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음료 중 어린이들이 좋아하는 캐릭터(이름 또는 이미지)를 사용하는 102개 제품의 성분을 분석한 결과 “성장기 어린이들이 많이 섭취할 경우 비만과 당뇨, 치아손상을 가져올 위험성이 있다”고 밝혔다.

인재근 의원이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102개 제품 중 과·채주스 27개 제품을 제외한 거의 모든 제품에서 설탕·과당 등 당을 주성분으로 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그 중 9개 제품(과·채주스 3개 제품 제외)은 어린이 기호식품의 당 인증기준인 17g을 초과했다. 특히 수입음료인 ‘크레용신짱’제품은 47g이었고, 남양유업에서 생산하는 초코에몽 제품은 23g이었다.

2015년 인 의원이 국회입법조사처로부터 제출받은 ‘당류 및 저산도(PH) 식품의 과잉 섭취가 어린이에게 미치는 영향 등’보고서에 따르면, 일일 당 섭취 권고량은 성인의 경우 1일 2,000kal 기준으로 50g 이내로, 어린이는 성인의 50% 수준 이내라고 분석했다.

따라서에 어린이가 하루에 제품 1~2개만 섭취하더라도 성인 일일 당 섭취 권고량을 초과하거나 육박하게 된다.

국회입법조사처의 보고서는‘당류 섭취 증가가 충치와 비만(인슐린저항성), 대사증후군, 당뇨(인슐린저항성), 고혈압, 통풍(고요산혈증), 심근경색(고지혈증), 지방간(비알콜성), 췌장염(혈중 중성지방 증가) 등의 질병과 큰 상관관계가 있다는 연구 결과들이 보고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또 102개 제품의 산도(pH)를 분석한 결과 로보카폴리포도 2.7, 뽀로로비타쏙쏙 포도․복숭아 2.7 등 3.0이하인 강산성 제품이 14.7%(15개), 3.0~5.0이하인 약산성 제품이 78.4%(80개)를 차지했다.

식약처는 산도(pH)가 낮은 음료수가 어린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산도(pH)가 낮은 산성음료는 치아표면의 부식을 일으킬 수 있으며, 산도(pH)가 낮을수록 그리고 노출되는 시간이 길수록 부식정도가 심해지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고 밝혔다.

또 한국소비자원은 ‘치아 생성기 및 성장기에 있는 유아, 청소년이 pH가 낮은 각종 음료를 지속적으로 섭취할 경우 치아가 손상될 수 있고, 치아손상은 산에 의해 치아 표면에 화학적인 손상이 일어나는 것으로 음료의 pH가 5.5미만이면 부식을 초래할 수 있다’는 보고서를 발표한 바 있다.

특히 제품 중에는 식약처에서 운영 중인 ‘고열량·저영양 판별프로그램’으로 확인 한 결과 ‘변신자동차또봇사과’ 제품을 포함한 4개 제품은 ‘고열량·저영양식품’인 것으로 드러났다.

고열량·저영양식품이란 식약처가 정한 기준보다 열량이 높고 영양가가 낮은 식품으로 비만이나 영양 불균형을 초래할 우려가 있는 어린이 기호식품을 말한다. 또 ‘크레용신짱’ 2개 제품은 식용타르색소(식용색소적색제40호)를 첨가했다. 하지만 어린이기호식품 품질인증 기준에서는 사용을 금지하고 있는 첨가물이다. 

인재근 의원은 “어린이들이 좋아하는 캐릭터 음료를 접하는 부모들은 일반음료보다 어린이에게 좋을 것을 기대하며 구입하는데, 일부 제품에서 기대와 다른 결과가 나왔다”며 “성장기 어린이들이 피해를 입지 않도록 어린이음료에 대한 명확한 기준 마련을 위해 정부가 적극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당 17g 초과 제품 현황, 산도(pH) 강산성 및 약산성 제품 현황, ‘고열량․저영양 식품’현황은 (http://medicalworldnews.co.kr/bbs/board.php?bo_table=pds&wr_id=2414)를 참고하면 된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442220087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5~6월 제약사 이모저모]한국존슨앤드존슨, 한미약품, 한올바이오파마, 한국GSK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5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ST, 박스터, 신풍제약, 셀트리온, 한국아스텔라스제약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5월 31일 병원계 이모저모④]국립암센터, 동탄성심병원, 분당서울대병원 등 소식
위드헬스케어
한국화이자제약
GSK2022
한국얀센
한국MSD 202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