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최근 5년간 학생 집단식중독 1위‘학교’ - 12,498명 식중독 감염, 학교 음식물 관리 대책마련 시급
  • 기사등록 2015-09-14 19:38:00
기사수정

최근 5년(2011년~2015.6월)간 1만 2,498명의 학생들이 식중독에 감염됐고, 집단식중독 1위는 학교로 나타났다.

인재근 의원(새정치민주연합, 보건복지위원회, 서울 도봉갑)이 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 식약처)로부터 제출 받은 ‘집단급식소 식중독 발생 현황’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조사됐다.

집단식중독 환자가 가장 많이 발생한 곳은 학교로 전체의 76.2%인 202개교에서 12,498명이 식중독에 감염됐다. 다음으로 기업체가 25곳 1,571명, 청소년 수련원이 12곳 620명, 대학교 8곳, 어린이집 5곳, 유치원 3곳 순이다.

학교에서 발생한 집단식중독 연도별 현황을 보면 ▲2011년 30학교 2,061명 ▲2012년 54학교 3,185명 ▲2013년 44학교 2,247명 ▲2014년 51학교 4,135명 ▲2015년 6월 23학교 870명 인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 유형별로는 고등학교가 전체의 53.4%(108학교)로 가장 많았으며, 초등학교 24.2%(49학교), 중학교 22.2%(45학교) 순이다.

월별 현황을 보면 기온 변화가 심한 5월이 31건, 9월이 27건으로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 6월이 26건, 3월 25건, 4월 19건, 8월과 11월이 각각 16건, 12월 15건, 7월 10건, 2월 8건, 10월 5건, 1월 4건 순이다.

특히 100명 이상 학생이 대량으로 식중독균에 감염된 학교도 33곳에 달했다.
 
가장 많은 학생이 발생한 사례는 2014년 8월 서울 서초에 있는 A여고로 835명이(3개학교 공동급식) 식중독에 감염됐다.

또 경기도 일산 소재 B고등학교의 경우 2014년 3월 11일 188명, 3월 25일 78명, 4월 11일 30명 등 한 달 사이 세 차례나 집단식중독이 발생하여 296명의 학생이 식중독에 감염됐다.

이 학교는 집단식중독 발생 원인이 되었던 종사자에 대해 적절한 조치를 취하지 않아 계속 급식을 진행했던 것으로 드러나 이후 경기도는 300만원의 과태료를 부과했다.

지역별 발생 현황을 보면, 경기가 41학교로 가장 많았고, 인천 29학교, 서울 21학교, 전남 17학교, 전북 14학교, 부산과 경북이 각각 13학교, 충남 11학교, 광주와 경남이 9학교, 대구 8학교, 강원 7학교, 울산 6학교, 대전과 충북이 가장 적은 2학교 순이다.

행정처분별 현황을 보면, 122개 학교에는 처분이 가벼운 ‘행정지도’에 그쳤고, 50개 학교에는 과태료가 부과 됐다.

문제가 있는 부식물을 납품한 업체 중 14곳은 ‘영업소 폐쇄’처분을 받았고, 10곳은 과징금 부과, 7곳은 영업정지의 행정처분이 내려졌다.

행정처분 유형에서 보듯이 집단식중독은 학교의 부주의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았다.

2014년 11월 경기도 소재 C고등학교에서 발생한 사례의 경우 수육야채무침을 대량으로 조리한 후 상온에서 식히는 과정에서 퍼프린젠스균으로 인한 집단식중독이 발생했으며, 2015년 3월 경북 소재 D고등학교에서 발생한 집단식중독의 경우 해물파전에서 병원성 대장균과 포도상구균이 검출되었는데 원인은 음식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것으로 개인 위생에 문제가 있었다는 게 보건당국의 설명이다.

인재근 의원은 “부실한 식자재와 음식관리 소홀로 인한 집단식중독으로 학생들이 피해를 보고 있다”며 “철저한 개인위생과 학교와 보건당국의 관리 강화로 집단식중독이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학교에서 발생한 집단식중독 년도별 현황, 학교 유형별 발생 현황, 월별 발생 현황, 지역별 발생 현황 등은 (http://medicalworldnews.co.kr/bbs/board.php?bo_table=pds&wr_id=2413&page=0&sca=&sfl=&stx=&sst=&sod=&spt=0&page=0)를 참고하면 된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442216288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5~6월 제약사 이모저모]한국존슨앤드존슨, 한미약품, 한올바이오파마, 한국GSK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5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ST, 박스터, 신풍제약, 셀트리온, 한국아스텔라스제약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5월 31일 병원계 이모저모④]국립암센터, 동탄성심병원, 분당서울대병원 등 소식
위드헬스케어
한국화이자제약
GSK2022
한국얀센
한국MSD 202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