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치료 중 질병 진행 환자도 타쎄바 투여 유지시 무진행생존기간 연장 확인 - 1차 치료 후 폐암 ‘진행’ 진단 시 타쎄바 중단 vs 타쎄바 유지, 무진행생존…
  • 기사등록 2014-11-03 21:34:34
  • 수정 2014-11-03 21:36:24
기사수정

엘로티닙을 중단하지 않고 계속 사용하면 무진행생존기간이 3.1개월 더 연장된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한국로슈(대표이사: 마이크 크라익턴)는 지난 9월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개최된 2014년 유럽종양학회(ESMO, European Society for Medical Oncology)에서 EGFR(상피세포 성장인자 수용체) 유전자 활성변이 비소세포폐암 환자를 경구용 표적치료제 엘로티닙(제품명 : 타쎄바, Tarceva)로 1차 치료한 후 검사 했을 때 종양이 커졌거나 새로운 종양이 발견되더라도 이같은 효과가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한국, 대만, 태국, 홍콩 등이 참여해 아시아의 EGFR 유전자 변이 비소세포폐암 환자 207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ASPIRATION 임상 연구의 결과로, 한국에서는 82명의 환자가 참여했다.
 
3-22.jpg

이번 임상은 엘로티닙 치료를 받기 시작한 후 다음 검사 시 PD(Progressive Disease)를 진단받은 시점까지의 무진행생존기간(PFS1)과 앞서 PD를 진단받은 환자들에게 엘로티닙 치료를 중단하지 않고 계속해서 투여했을 때의 무진행생존기간(PFS2)을 비교했다.

무진행생존기간은 항암치료를 시작한 후 암의 성장이 멈춘 시점부터 종양이 다시 성장하기 시작한 시점까지의 기간을 말하며, PD는 종양의 치료반응 평가 기준인 RECIST에 따라 종양의 크기가 지난번 보다 20% 이상 증가하거나 새로운 병변이 보이는 ‘진행상태’를 말한다.

207명의 환자 중 171명이 PD를 진단받았고, 이중 93명이 PD 진단 후에도 엘로티닙을 지속 투여했다.

엘로티닙을 지속 투여한 환자군의 PFS1의 중앙값은 11개월(95%, CI 9.2–11.1), PFS2의 중앙값은 14.1개월(95%, CI 12.2–15.9)로, PD 진단 이후에도 엘로티닙을 중단하지 않고 계속 복용하면 무진행생존기간이 3.1개월 더 연장되는 것을 확인했다.

또 폐에서 새로운 병변이 발견된 환자 비율이 PD 진단 후 엘로티닙을 중단한 환자군에서 23.1%로 나타난데 반해, 엘로티닙을 지속 투여한 환자군에서는 10.8%로 절반 이상 낮게 나타났다.

이번 연구에서 엘로티닙의 객관적 반응율(ORR, 완전 관해 및 부분적 관해가 확인된 환자의 비율)은 66.2%, 질병 조정률(DCR, 완전 관해 및 부분적 관해가 확인된 환자와 안정상태의 환자 비율)은 82.6%였다. 환자의 전체 생존기간(OS)의 중앙값은 31개월(95%, CI 27.3-not reached)이었다.

안전성 검사 결과 중대한 이상반응은 207명의 환자 중 56명(27.1%), 3등급 수준의 이상반응은 82명(39.6%), 4등급은 15명(7.2%), 5등급의 경우 7명(3.4%)에서 보고돼, 기존 엘로티닙 연구에서 관찰됐던 이상반응과 유사했다. 모든 등급의 이상반응은 PD 진단 후 엘로티닙을 중단한 환자군 보다 지속 투여한 환자군에서 좀 더 높게 나타났다.

임상연구 총 책임자인 삼성서울병원 종양내과 박근칠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엘로티닙을 1차 치료로 사용한 환자 중 치료 기간이 길고 예후가 좋은 환자에서 병의 진행이 있어도 엘로티닙을 계속 사용하면 무진행생존율을 추가적으로 연장시킬 수 있음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타쎄바는 EGFR 유전자 활성변이가 있는 국소진행성 또는 전이성 비소세포폐암의 1차 표적치료제로 2011년 12월, 국내 허가를 받았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415017997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5~6월 제약사 이모저모]한국존슨앤드존슨, 한미약품, 한올바이오파마, 한국GSK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5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ST, 박스터, 신풍제약, 셀트리온, 한국아스텔라스제약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5월 31일 병원계 이모저모④]국립암센터, 동탄성심병원, 분당서울대병원 등 소식
위드헬스케어
한국화이자제약
GSK2022
한국얀센
한국MSD 202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