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무턱 치료 단순 미용문제 아니다…숨 쉬기도 편해져 - 우리 아이 아래턱 발육부진 등
  • 기사등록 2014-09-17 23:39:51
  • 수정 2014-09-17 23:41:40
기사수정

최근 어린이 무턱(하악왜소증)환자가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무턱치료가 단순히 부정교합 치료뿐만 아니라 기도의 넓이를 확장시켜 코골이와 수면무호흡증의 예방, 치료까지 기대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또 장기관찰결과, 이 효과는 성인이 된 이후에도 유지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연세대학교 강남세브란스 치과병원 교정과 김경호, 최윤정 교수팀에 따르면 왜소한 아래턱에 성장을 촉진해 주는 장치를 사용해 교정치료를 받은 평균 11살 어린이 24명의 환자를 7~8년 추적 관찰한 결과, 아래턱의 성장으로 인한 턱과 치열의 교정뿐만 아니라, 좁았던 기도도 함께 넓혀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치료 전 후로 평균 환자의 기도상부 직경이 8.5mm→10.5mm로, 기도하부 직경이 9.8mm→11.2mm로, 전후방 골격차이지수(ANB)가 7.0°→5.1°로 아래턱 성장과 함께 상하부 기도의 크기 및 전체 부피가 증가했다.

이는 약 2년여의 치료과정이 끝나고 계측된 수치이며, 7~8년 후 성장이 완료된 시점에서도 유지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특히 좁았던 기도는 치료를 통해 확장되면서 정상 어린이와 비교해도 차이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런 기도확장 효과는 좁은 기도로 인해 생길 수 있는 코골이와 수면무호흡증 예방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보여진다.

흔히 무턱이라 불리는 하악왜소증은 아래턱 성장이 덜 이뤄져 크기가 작거나 아래턱이 뒤로 들어가 있는 것을 말한다.

목과 얼굴 경계가 불분명하고 상대적으로 돌출입처럼 보이기도 한다. 턱의 전후방 골경차이지수(ANB 지수)가 4° 이상인 경우 치료 받는 것이 좋으며 만 10~12세에 시작해 평균 1~2년 정도 치료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교정과 김경호 교수는 “무턱은 단순히 심미적인 문제뿐만 아니라 건강과 직접적 관련이 있는 저작기능, 호흡, 발음 등의 문제가 심각할 수 있다”며 치료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아래턱이 좁아 치아가 고르게 나지 않으면 잘 맞물리지 않고, 턱뼈 길이나 크기가 달라져 부정교합을 야기한다. 이로 인해 안면과 치열의 변형을 초래할 수 있다. 또 아래턱 밑의 근육, 뼈 등은 기도와 연결되어 있어 턱 성장저하로 인해 숨 쉬는 기도도 좁아지면서 수면무호흡증상이나 코골이를 유발할 수 있다”고 조언한다. 

선천적으로 무턱을 가진 어린이는 정상 크기의 턱을 가진 아동에 비해 좁은 기도를 가지고 있어 정상적인 호흡이 어려운 경우가 많다.

성장기 어린이의 경우 수면 중 무호흡, 코골이 등으로 인한 수면장애가 생기면 호흡기 질환 발생율이 높아지고, 집중력 저하로 인한 학습능력 저하 등의 문제가 발생되며 성인이 되어서도 여러 합병증으로 이어지기 쉽다.

이번 연구결과는 SCI-E에 등재된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최근호에 ‘Long-term pharyngeal airway changes after bionator treatment in adolescents with skeletal Class II malocclusions’라는 주제로 게재되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410964666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4월 2일 병원계 이모저모③]국립암센터, 일산백병원, 칠곡경북대병원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4~5월 제약사 이모저모]한국오가논, 셀트리온, 에스바이오메딕스, 앱티스, 한국다케다제약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5월 3일 병원계 이모저모②]고려대의료원, 전북대병원, 한국원자력의학원 등 소식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대한간학회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