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포털사이트 ‘손목 혹’ 상담글 6천건…손목결절종 두려워 마세요 - 혹 생기면 의심-걱정 많아져, 주사로 관절액 빼내거나 터트리는 방법 치료 …
  • 기사등록 2013-05-28 18:13:37
  • 수정 2013-05-28 18:14:31
기사수정

노출이 많아지는 계절이 되면서 평소엔 신경을 쓰지 않던 손목에 혹이 생긴 것을 발견하고 걱정하는 사람들이 있다.

국내 한 포털 사이트의 의료상담 게시판을 보면 ‘손목 혹’과 관련된 상담 글이 6,000건이 넘는다. 많은 환자가 갑자기 생긴 혹이 암이 아닐까 의심하고 두려워하는 경우가 많은데 대부분 물혹의 종류인 손목 결절종일 가능성이 크다.

손목 결절종은 얇은 섬유성 피막 안에 투명한 젤리 같은 관절액이 스며들어서 물혹이 되는 양성종양의 일종이다.

외상이나 손목의 과도한 사용으로 인해 관절이나 힘줄막 내의 관절액이 연부 조직으로 새어 나와 피부가 부풀어 오르게 되는데 주로 손목의 윗부분이나 아랫부분에 나타난다.

혹의 크기는 작은 것은 지름 1cm 정도부터 4~5cm까지 다양하다. 별다른 통증이 없는 경우도 많지만, 혹을 손으로 세게 누르거나 무거운 물건을 들 때 손목이 시큰거리는 등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도 있다.

손목 결절종의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외상과 관련이 깊다고 보고되고 있다.

또 컴퓨터를 많이 사용하는 직장인, 집안일을 많이 하는 주부 등 손목 관절을 과도하게 사용하는 사람들에게도 자주 나타난다.

최근에는 스마트 기기의 생활화로 손목 사용량이 더욱 증가하는 추세여서 손목 결절종 발생 위험이 더 커졌다. 성별로는 여자가 남자보다 2~3배 많이 생기며, 20~30대에서 주로 발생한다.

구로예스병원 황은천 원장은 “손목 결절종은 악성종양인 암이 아닌 낭종이기 때문에 손목 기능의 부작용이나 장애를 발생시키지 않으므로 크게 걱정할 필요는 없다.”며 “내버려둔다고 해도 심각한 문제가 되진 않지만, 결절종의 크기가 커질수록 주변 신경을 자극해 통증이 생기기도 하고 미관상 좋지 않기 때문에 진단을 받고 제거하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가장 일반적인치료 방법은 주사기로 결절종의 물의 빼내는 것이다. 이 방법은 간단하고 통증도 적지만 재발률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

또 다른 방법은 혹을 손가락이나 도구로 결절종을 눌러 터트리는 방법이다. 결절종 내부의 용액은 관절액으로 빼내지 않아도 인체에 무해하다. 이 방법은 재발률이 낮지만 통증이 심한 것이 단점이다.

황은천 원장은 “가장 확실한 치료법은 결절종을 완전히 제거하는 수술 치료지만 관절막을 지나치게 많이 절제하면손목의 힘이 약해지는 등 손목 관절의 불안정성을 초래할 수 있고 흉터가 남을 수 있기 때문에 신중하게 고려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본 칼럼은 본지의 편집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369732343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4월 2일 병원계 이모저모③]국립암센터, 일산백병원, 칠곡경북대병원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4~5월 제약사 이모저모]한국오가논, 셀트리온, 에스바이오메딕스, 앱티스, 한국다케다제약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5월 3일 병원계 이모저모②]고려대의료원, 전북대병원, 한국원자력의학원 등 소식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대한간학회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