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어린이 골절 대수롭지 않게 여겼다간 성장판 위험 - 성장판 손상, 신체 변형이나 작은 키 원인 될 수 있어 조기 치료 중요
  • 기사등록 2013-05-24 00:17:02
  • 수정 2013-05-24 00:19:47
기사수정

올해 초등학교에 입학한 이모(8)군은 방과 후 놀이터에서 친구들과 놀다가 넘어져 다리가 골절되는 중상을 입었다. 곧바로 병원을 찾았지만 단순한 골절이 아닌 성장판까지 손상돼 꾸준한 치료가 필요하다는 진단을 받았다.

최근 나들이하기 좋은 날씨에 야외 활동이 늘어나면서 운동이나 놀이를 하다 골절되는 사고가 증가하고 있다.

넘어지는 순간 무심코 손목을 짚으면서 손목이 골절되거나 완충 작용 없이 넘어질 경우 팔꿈치, 발목 주위 등이 골절되는 일이 많다. 넘어지거나 부딪치는 등의 사고로 뼈가 부러질 때 심하면 성장판이 손상되거나 뼈는 멀쩡한데 성장판만 손상되는 경우도 있어 각별한 주의가 요망된다.

성장판은 뼈 사이의 연골이므로 외부로부터 조그만 충격이 있어도 쉽게 손상을 입는다. 전체 어린이 골절의 20%는 바로 성장판 골절이다. 가벼운 성장판 손상의 대부분은 후유증 없이 치료가 가능하지만 치료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치명적인 장애가 올 수 있다.

성장판이 다칠 경우 다친 부위의 뼈만 성장이 멈춰버려 특정 부위의 뼈 길이가 짧아지게 되거나 팔과 다리의 양쪽 길이가 달라지면서 다치지 않은 부위의 관절도 한쪽으로 휘어지는 이상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심할 경우 허리까지 휘는 전신 기형으로 발전할 수 있다.

대부분 아이를 키우는 부모들은 아이들이 넘어져 다치면 골절이 아닌 이상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하지만 심하게 넘어졌거나 통증을 계속 호소한다면 꼭 골절이 아니더라도 성장판 손상을 의심해 볼 필요가 있다.

특히 어린이가 골절 후 성장판이 손상되는 등의 부작용은 초기에 확진이 어렵기 때문에 골절 치료가 다 되었어도 최소 2년까지는 3~4개월에 한번씩 병원에서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다.

청담튼튼병원 신정연 원장은 “나들이하기 좋은 날씨가 계속되면서 어린이 골절로 병원을 찾는 환자들이 늘어나고 있다. 특히 아이들의 경우 뼈는 어른보다 훨씬 쉽게 붙지만 성장판 손상을 가져 올 수 있어 부모들의 주의가 필요하다. 골절 이후 성장장애 여부는 골절 당시에는 잘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종종 있으므로 치료가 되었더라도 적어도 2~3개월은 꾸준한 검사가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본 칼럼은 본지의 편집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369322151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4월 2일 병원계 이모저모③]국립암센터, 일산백병원, 칠곡경북대병원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4~5월 제약사 이모저모]한국오가논, 셀트리온, 에스바이오메딕스, 앱티스, 한국다케다제약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5월 3일 병원계 이모저모②]고려대의료원, 전북대병원, 한국원자력의학원 등 소식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대한간학회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